엄마들이 만든 금천구 은행나무 도서관 쌈짓돈·기부금 모아 작은 주택에 새 둥지
엄마들이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가꾼, 작지만 특별한 도서관이 10여년 만에 안정적인 보금자리를 갖게 돼 눈길을 끈다.취지는 소박했다. 아이들이 안심하고 찾아와 좋은 책을 만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자는 생각에 각자 출자금 30만~300만원씩 모아 임대료를, 회원 가입비로 운영비 등을 충당했다. 이 도서관이 돋보이는 부분은 좋은 책을 직접 골라 아이들에게 직접 읽어준다는 데 있다. 제 집 안방처럼 뒹굴며 책 이야기를 듣던 아이들이 어느 새 청소년, 대학생으로 자라 동생들에게 책을 읽어주러 찾아온다. 가족 단위로 가입하는 회원 규모는 현재 1100가구다.
명소로 자리매김했지만 안정적으로 공간을 유지하는 게 쉽지 않았다. 처음 입주한 곳은 재건축 문제로 1년 만에 떠나야 했다. 두 번째로 찾은 곳에서 7년 가까이 머물렀지만 월세 전환 문제로 다시 짐을 싸야 했다. 부동산 임대료가 높아진 탓에 2010년 세 번째로 찾아간 곳은 반지하였다. 비좁은 공간이 늘 아쉬웠는데 비가 새는 일마저 생겼다. 다급한 마음에 다시 옮길 곳을 찾아 나섰지만 여의치 않았다. 딱한 사정을 들은 독지가가 도움의 손길을 건넸다. 그 돈에 엄마들이 10여년간 쌈짓돈처럼 모은 돈을 보태 1970년대에 지은 단층 주택을 사들였다. 좁고 낡았지만 마당에 작은 텃밭과 나무가 있어 아이들에겐 더없이 좋았다. 도서관은 이곳에 장기 임대 형식으로 입주한다. 10년 내 명의 전환이 목표다. 있는 돈 없는 돈 다 털어서 공간을 마련하다 보니 내부를 수리할 돈이 없어 발을 동동 굴렀다. 하지만 팔방으로 뛰어다닌 끝에 서울시 사회복지협의회를 통해 한 기업체로부터 4600만원을 지원받게 됐다. 이 기업은 도서관 이사 때도 임직원 등 자원봉사자 50명을 보내 돕기로 약속했다. 도서관은 이르면 다음 달 말 새로 문을 연다.
시미선 관장은 “크고 작은 위기를 맞을 때마다 희망을 버리지 않은 덕분에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었다. 주변의 도움으로 보금자리를 찾아 너무 감사하다”고 말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