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사 “교육에 불만” 지자체 “개발 기대”
보수적 성향의 공무원들이 비교적 많이 거주하는 세종시가 6·4 지방선거에서 야권의 압승으로 마무리된 이유는 뭘까? 정부세종청사와 세종시청 공무원들의 표정에 그 사연이 살짝 묻어난다.새정치연합은 이춘희 세종시장 당선인은 물론 시의원 13석 중 8석을 차지하며 그동안 여당인 새누리당이 석권했던 정치 지형을 완전히 바꿨다. 더욱이 충청권에서 드문 전교조 출신 진보 성향의 최교진 교육감을 배출하며 변화의 중심으로 섰다.
지난 5일 세종청사에서 정상근무를 한 공무원들의 표정은 일단 무덤덤하게 보였다. 지방선거 결과가 중앙부처에서 근무하는 자신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기 때문일 것이다. 세종시에 거주하는 한 공무원은 “정치에 관심이 많은 젊은 유권자들의 유입과 세월호 참사 분위기가 투표에 반영된 결과로, 공직사회로선 크게 의미를 부여할 게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다만 주소지를 이전하며 자녀교육 인프라에 최소한의 기대를 했으나, 이마저도 충족되지 못한 것에 대한 반발로 야당에 표가 몰린 점도 있을 것”이라고 넌지시 이유를 꼽았다. 한마디로 여권에 대한 실망감에서 표심이 야권으로 쏠린 것 아니냐는 해석이다.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은 밝은 표정으로 기대감을 나타냈다.
세종시 관계자는 “예정 지역 개발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소관이라 그동안 지자체의 이런저런 목소리를 반영하기 어려웠는데, 새 시장 당선인이 바로 세종시를 설계한 행복청장을 거쳤기에 긴밀한 협조가 가능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과거 민주당의 신행정수도 기획단계부터 참여해 법률 제정, 입지선정, 도시설계, 토지보상 등에 관여한 이 당선인은 “세종시를 세계적 명품도시로 개발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4-06-09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