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타당성용역 이달 내 발주
경기 수원시가 50년간 도심 흉물로 지적돼 온 수원역 앞 집창촌을 정비하기 위해 타당성 용역을 발주하는 등 사업을 본격화한다.사업 대상 지역은 수원역 맞은편 구 시외버스터미널 주변 성매매 집결지 등 2만 1600㎡로 수원역세권 개발 사업과 연계해 도시 거점 공간으로 재정비된다.
시는 용역을 통해 대상지 주변 개발 여건과 현황을 분석해 사업 타당성을 검토하고 재원 조달 및 사업 추진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다. 타당성 용역을 통해 공영 개발, 민·관 합동 개발, 주거환경개선사업 등 사업 방식에 대한 검토가 이뤄질 예정이다.
정비 과정에서 해당 지역 건물주, 성매매업주 등과 협의체를 구성해 성매매업소를 폐쇄하고 향후 역세권 개발 방향과 어울리는 업종으로의 전업을 유도하기로 했다.
수원역 맞은편 매산로1가 일대에는 99개 성매매업소에 200여명의 성매매 여성이 종사하고 있어 도시계획상 중심 상권임에도 행인들이 길을 피해 다니는 등 흉물화된 상태다.
시는 이와 관련해 집창촌 폐쇄 뒤 전업을 희망하는 성매매 여성들을 위해 ‘탈성매매 여성을 위한 지원조례’를 제정하고 재활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집창촌 인근 수원역세권에는 현재 롯데백화점과 대형 쇼핑몰이 신축되고 있다. AK플라자 증축, 수원역 환승센터 건설, 원도심과 서수원을 잇는 구름다리 연장, 호텔 신축 등 경기 남부 교통 거점 지역으로 개발 중이다.
염태영 시장은 “성매매 집결지로 인해 중심 상권이라고 보기 민망할 정도로 낙후돼 있다. 청소년 유해 환경이라 정비가 시급하다”며 “사회, 경제, 문화 등의 융·복합 시설을 포함하는 개념의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