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달 말부터 계좌 통합 의무화… 통합지출관 임명해 관리해야
지방자치단체에서 부서별로 별도 관리하던 세출예산 집행용 은행계좌들이 하나의 계좌로 통합 관리된다. 그동안 각 자치단체마다 평균 30개 가까이 부서별 은행계좌를 운영하면서 자금 집행이 복잡하고 불투명하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세출예산 계좌가 통합되면 자치단체 전체 자금 흐름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돼 재정운용이 투명해지고, 부정부패 가능성도 줄어들 전망이다.기존 지방재정법 제90조는 ‘관서별 분산 지출을 통합해 운용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단체장이 통합지출관을 둘 수 있다’ 등 임의조항으로 돼 있었다. 하지만 개정 조항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관서별 분산지출을 통합해 운용해야 한다’고 강제하도록 했고 통합지출관 임명도 의무조항으로 바꿨다.
개정 시행령에 따르면 통합지출관은 지자체 단체장이 임명한다. 통합지출관은 관서별 소요자금을 통합관리하고, 관서별 지출원과 출납원을 지도감독하며, 기타 자금 관리와 운용에 관한 사항도 담당하도록 했다. 결산서 작성도 통합지출관 업무다.
이번 개혁은 2010년 서울시에서 시작한 통합계좌 운영방식을 벤치마킹한 것이다. 자치단체에서 시작한 개혁 모델을 안행부가 전국에 확산시키는 중앙·지방 협업 사례인 셈이다. 서울시는 2010년 1466개나 되던 계좌를 회계별 계좌 32개로 통합했고, 2012년에는 통합계좌 하나에 모든 자금을 통합했다. 부서에서 운영하는 계좌는 일종의 가상계좌로 수치만 관리한다.
안행부는 먼저 일반회계를 대상으로 계좌를 통합하고, 그다음으로는 일상경비와 기금·특별회계까지도 본청에서 통합계좌로 관리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과거 복지담당 공무원 횡령사건과 같이 비효율과 불투명 등 문제점을 대폭 개선할 수 있게 된다. 거기다 유휴자금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151억원가량 이자수익도 기대할 수 있다고 안행부는 전망했다.
현재 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은행계좌는 일반회계만 해도 7198개나 된다. 전국 244개 지자체에서 평균 29.5개나 되는 계좌를 사용했다는 뜻이다. 가장 많은 계좌를 갖고 있는 곳은 제주도로 144개가 있다. 기초시에서는 고양시가 110개나 된다. 반면 서울시 지자체는 거의 대부분 3개 계좌만 갖고 있고 금천·도봉·마포·양천·영등포·은평구 등 6곳은 세출계좌가 2개뿐이다.
이주석 지방재정세제실장은 “재정을 통합 운용하면 투명성과 효과성이 높아지고 이자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어 자치단체로서는 일거양득”이라면서 “통합지출관 제도가 잘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전국 자치단체들이 계좌를 가장 많이 개설한 농협의 한 관계자는 “계좌가 통합될 경우 앞으로는 유휴자금이 생길 수가 없고 자금관리 투명성이 대폭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4-10-17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