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주리 산업부 기자 |
안전행정부 산하 세종청사관리소는 3단계 청사에 필요한 82명의 청소인력을 따로 뽑지 않고 기존 1, 2단계 건물 청소인력에서 60명을 떼어내 쓰기로 했다. 이미 1단계 청사도 예산이 부족하다며 청소인력을 17% 줄인 상황이었다. 내년 청소인력 채용 계획은 36명으로 당초 예상보다 56%나 줄었다.
공공비정규직노조가 공개한 세종청사 3단계 건물의 1인당 청소 면적은 1806㎡(550평)로 서울청사 1408㎡, 과천청사 1464㎡, 대전청사 1492㎡보다 훨씬 넓다. 1, 2단계 세종청사도 각각 1797㎡, 1849㎡로 다른 지역 청사들보다 넓다. 한국건물위생관리협회가 1인당 작업 평수로 제시하는 기준은 990㎡(300평)로, 이곳 근로자들은 두 배 이상의 면적을 청소하는 셈이다. 인원을 더 뽑지 않으면 1인당 청소 면적은 약 2300㎡(700평)로 늘어난다. 이들의 월급은 세후 120만원 남짓이다. 당초대로 80명을 증원해 운영한다면 연간 12억원이 소요된다. 세종청사관리소 관계자는 “예산이 부족하고 기계화로 인력 감축 요인이 생겼다”면서 “대신 과업을 35% 줄였다”고 말했다.
정부는 세종청사를 지으면서 주민들에게 공공부문의 일자리 창출을 약속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대선공약으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내세웠던 것은 차치하더라도 예산 부족을 이유로 청소근로자 자리 없애기를 예산 절감 1순위에 올리는 것은 매몰찬 처사다.
jurik@seoul.co.kr
2014-11-07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