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12일 국제심포지엄… 기업 저탄소 경영전략 등 공유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는 정부가 기업에 배출할 수 있는 온실가스 허용량을 부여하고 기업은 허용량 범위 내에서 생산활동과 온실가스 감축을 하되 기업 간 배출권 거래를 허용하는 제도를 말한다.
심포지엄에는 마르코 로프리에노 유럽연합 기후변화총국 정책관과 제프 슈워츠 국제배출권거래연맹(IETA) 이사 등 해외 전문가들이 참석, 배출권거래제 해외 운영사례와 배출권거래제 시행에 따른 기업경영혁신에 대해 의견을 나눈다. 기업경영 관점에서 본 배출권거래제의 유용성 등에 대한 분석과 토론도 예정돼 있다.
마르코 정책관은 미리 배포한 발제문에서 “유럽 배출권 거래제가 202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의 핵심 요소”라며 “경제적으로도 하루 2600만 배출권이 거래되는 비즈니스인 동시에 저탄소 경제로의 자연스러운 전환 수단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배출권 거래제가 안착하려면 시장정보와 자료검증에 기반해 배출총량을 엄격하게 설정하고 평가와 중간 수정이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재계를 대변하는 영국산업연맹(CBI)의 가이 드루 이사는 “유럽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영국의 그린 비즈니스 시장은 일자리 100만개를 창출하는 등 성장하고 있다”면서 “기업의 저탄소 경영전략의 핵심으로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가 유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튼 닐리스 에코피스사 동아시아 지역총괄 중국 지사장은 “거래제 안착을 위해서는 명확한 전략에 기초한 기업의 능동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4-11-12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