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문구 탈북주민 장례 지원
‘못다 전한 말의 아쉬움과 홀로 느꼈을 외로움은/이곳 남한땅에 내려놓으시고/이제는 편히 쉴 수 있는 그곳으로 자유롭게, 편히, 안녕히 가십시오.’
|
9일 서대문구 홍은동 동신병원 장례식장에서 문석진(왼쪽) 서대문구청장이 무연고 북한이탈주민 고(故) 이덕평씨 조사를 낭독하고 있다. 서대문구 제공 |
1960년 12월 19일 한국으로 입국한 이씨의 마지막 길을 복지통장, 복지동장, 사회복지협의회, 탈북지원단체인 서울서부하나센터, 주민 등이 지켜봤다. 이씨가 다니던 명지대학교 교회 유병우 목사와 교인들이 발인예배를 진행했다. 모르긴 몰라도 한국에서 50년 넘도록 홀로 지내는 동안 이씨를 위해 가장 많은 사람이 모였을 것이다. 구가 죽음에 대비해 자신의 희망을 적어 두도록 나눠 준 엔딩노트가 이씨 집에서도 발견됐다. 홀로 죽음을 맞이할지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이었을까. 엔딩노트 영정란에 이씨는 자신의 사진 한 장을 끼워 놓았다.
지난달 27일 자택 출입문에서 쓰러져 끝내 일어나지 못한 이씨의 장례가 외롭지 않게 치러질 수 있었던 것은 서대문구 마을장례지원단 두레의 힘이 컸다. 구는 장례 없이 묻히는 무연고 사망자의 쓸쓸한 뒤안길을 배웅해 주고자 지난해 민관협력 형태의 두레를 꾸려 운영하고 있다. 마을장례지원단이 가족이 돼 상주 역할을 맡고 장례를 치른다.
이씨의 장례식 후 참석자들은 오후 경기 고양시 시립승화원 화장 과정을 거쳐 파주시 ‘무연고 추모의 집’에 유골을 안치할 때까지 자리를 뜨지 않았다.
문 구청장은 잘 사는 것 못지않게 잘 죽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무연고 사망자가 발생하면 시신처리 업체에서 바로 화장해 납골당에 안치하는데 이는 망자에 대한 예가 아니다”라면서 “평생 외롭게 살다 죽음을 맞이한 이씨의 마지막 길만큼은 외롭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2014-12-10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