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 교육 활성화’ 토론회 개최
“아이들의 꿈도 차이가 나요. 가정형편이 어려운 아이들은 어떤 꿈을 가져야 할 것인지 배울 기회도 없어요.”(학부모 강모씨)“학원비도 어렵게 마련해 주시는 부모님께 직업체험 프로그램까지 말씀드리기가 미안하죠.”(중학교 2학년 한모군)
직업교육에 대한 엄마들의 목소리는 다양했다. 중학생 자녀를 둔 신정동 김모(46)씨는 “학원 보내기도 빠듯해 진로 교육은 생각도 못 하고 있다”면서 “자신이 원하는 일을 찾을 수 있게 다양한 직업체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또 목동에 사는 한 학부모는 “체험활동은 어느 정도 알아서 한다”면서 “그보다 명사들의 경험과 성공담을 들을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구는 올해 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를 설립하고 인생설계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인생설계학교는 6일간의 체험·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다양한 진로를 설계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다. 구 관계자는 “사실 공교육에서 이런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양천구의 공교육 현황이 최악이라 이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실제 구의 학급당 학생 수는 28.4명으로 서울 25개 자치구 중 23위다. 교원당 학생 수는 16.2명으로 전체 중 꼴찌를 차지하고 있다. 구는 이번 토론회의 내용을 바탕으로 진로직업체험교육 사업안을 마련해 교육혁신지구 특화 프로그램으로 만들 계획이다.
김 구청장은 “무너진 공교육이 아이들의 꿈까지 양극화시키고 있다”면서 “혁신지구 선정을 통해 선생님의 수를 늘려 공교육을 바로 세우고 이를 통해 아이들이 자신들의 진로를 제대로 상담받을 수 있게 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4-12-2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