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호 펀드와 상호보완 가능 투자·회수기간은 8년으로
보건복지부는 24일 정부가 200억원을 투입하고 정책금융공사, 한국투자파트너스, 한국투자증권 등 민간이 1150억원을 출자한 ‘제2호 글로벌 제약산업 육성펀드’를 조성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처음 만들어진 1000억원 규모의 ‘글로벌 제약산업 육성펀드’에 이어 두 번째 펀드가 만들어진 것이다.
2호 펀드는 중소·벤처 제약사에 대한 투자를 중점적으로 하는 한국벤처투자조합(KVF)형태인 제1호 펀드와 상호보완이 되도록 사모투자전문회사(PEF)형태로 조성됐다. 특히 기술력은 있으나 자본력이 취약한 중견 제약기업에도 투자가 가능하도록 했다.
또 투자 기간이 긴 제약산업의 특성을 반영해 투자·회수 기간을 8년(2년 연장 가능)으로 하고, 국내 제약기업의 기술제휴와 글로벌 임상 등 해외진출 지원, 글로벌 진출을 위한 선진 생산시스템 구축을 주목적 투자 대상으로 했다.
신약개발은 긴 개발 기간, 낮은 성공 확률이라는 특성상 민간 투자가 쉽지 않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글로벌 제약산업 육성펀드를 만들어 신약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펀드 조성을 통해 제약분야에 특화하여 전문적으로 투자 가능한 펀드가 총 2350억원이 조성됐다”고 밝혔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4-12-25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