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 남대문·동대문 정비 계획
중구가 효율적인 노점 관리를 위해 ‘거리가게 실명제’를 도입한다. 기업형 불법 노점을 정비하고 생계형 노점상들이 정해진 지역에서만 영업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구는 그동안 시민들의 보행권 확보와 공정한 상거래 질서 확립을 위해 불법 노점과의 전면전을 벌였다. 특히 특정인의 부당이익을 위해 기업형으로 거리를 독점한 불법 노점의 경우 대대적인 정비에도 줄어들지 않아 제도적 장비를 마련한 것이다.
지난해 조사에 따르면 동대문 지역 노점은 모두 869개, 명동 일대 272개, 남대문 지역 111개이다. 구 관계자는 “명동과 동대문, 남대문관광특구 지역 등은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 관광객의 75% 이상이 다녀가는 곳”이라면서 “불법 노점들의 위조상품 판매, 바가지요금, 호객 행위 등으로 이미지를 실추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불법 노점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단속을 벌이는 데도 임시방편에 그치기 일쑤다”고 덧붙였다.
실제 구는 지난 8월 중부경찰서와 협무협약을 맺고 동대문 상가 지역에 있는 서울지방경찰청 기동본부 일대 노점을 대대적으로 정비했다. 10월 6일부터 지난달까지 중부경찰서와 중구청 직원 단속인원 2200여명이 합동 단속을 벌였다.
10월 6일에는 기동대 정문~마장로 횡단보도 106개 노점, 11월 3일에는 기동대 정문~해양엘리시움 앞 105개 노점을 추가로 정비했다.
10월 중순부터 지난달까지 남대문시장 회현역 주변 33개 노점에 대해서는 서울시와 주 1회 합동정비, 7곳을 강제정비하고 과태료 250만원을 부과했다.
최창식 구청장은 “중구의 이미지가 곧 관광 한국의 이미지이다”라며 “앞으로도 합리적인 방안을 마련해 관광특구 내 노점을 단계적으로 정비하겠다”고 말했다.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2014-12-31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