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새달부터 시민 430명 대상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 현실 도피형 귀농·귀촌이 주류를 이뤘습니다. 실직한 도시인들이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농촌을 택한 것인데요. 이 때문에 부정적인 인식이 강했고 그마저도 성공 확률이 낮았습니다. 하지만 2000년 중반 이후엔 도시 생활 대안에다 농촌의 생태 가치에 대한 선호가 더해져 주목받는 주제가 됐습니다.
|
서울시는 다음달부터 11월까지 운영하는 귀촌·귀농창업·티칭팜귀농 과정에 참여할 시민 430명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전원 생활을 준비하는 농업 입문 교육인 귀촌 과정(5일), 전문 농업 경영을 목표로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을 위한 귀농창업 과정(이론 10일, 실습 주 1회 모두 8회), 주중 수강이 어려운 직장인 등을 위한 티칭팜 과정(매주 토요일 14주)으로 진행됩니다. 귀촌 과정은 서울시 농업기술센터 홈페이지에서 선착순으로 신청받습니다. 귀농창업·티칭팜 과정의 경우 홈페이지 접수 뒤 관련 서류를 3월 1일, 3월 31일에 각각 제출하면 심사를 통해 선발합니다.
서울대공원도 지역농업네트워크 협동조합과 함께 다음달 7일부터 7월 18일까지 ‘도시 농부 귀농·귀촌 학교’를 운영하는데요. 대공원 영농실습장에서 각종 작물 파종과 관리, 수확 등 현장 실습과 귀농·귀촌 현황 및 이슈, 성공과 실패 유형 분석 등 이론 교육이 매주 토요일 13회에 걸쳐 모두 104시간 이뤄집니다. 교육 이수 교육생은 정부 귀농·귀촌 정책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고 중급·심화 과정에도 참여할 수 있습니다. 모집 인원은 30명이며 다음달 6일까지 지역농업네트워크 협동조합 홈페이지에서 지원서를 내려받아 작성한 후 전자우편(ranet@raner.co.kr)으로 내면 됩니다.
jukebox@seoul.co.kr
2015-02-2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