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열린 어린이집’ 가이드라인
정부가 부모들이 언제든지 어린이집을 들여다볼 수 있도록 5월 중 국공립·공공형 어린이집부터 단계적으로 창문을 개방하기로 했다. 부모가 수시로 어린이집을 드나들며 보육실 창문을 통해 보육 현장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어린이집에 대한 부모의 불안을 해소하자는 취지이지만, 교사의 교육권이 침해될 수 있고 아이의 집중력을 떨어뜨리는 등 교육적 역기능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
가이드라인에는 보육실 창문을 전면 개방하고, 텃밭 가꾸기 등을 통해 보육과정에 부모가 직접 참여하도록 하는 한편, 월 1회 이상 부모와 교사가 운영위원회를 열어 보육과정 운영 방향 등을 결정하도록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복지부는 정부 지원 어린이집에 가이드라인을 우선 적용한 뒤 전국 어린이집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자녀가 실제로 어떤 교육을 받는지, 어떤 음식을 먹는지 궁금해도 보육교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알게 되는 경우가 많아 이로 인한 불안감을 근본적으로 해소해야 하다는 요구가 있었다”고 정책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하지만 현장에선 기대보다 우려가 크다. 정모(37·여)씨는 “어린이집에 아이를 맡기러 갔다가 다른 집 아이가 우는 모습을 봤는데, 교사가 구구절절 아이가 왜 울고 있는지 설명하더라”며 “안 그래도 교사가 부모 눈치를 자주 보는데, 보육실 창문까지 개방하면 압박감에 자신의 교육철학에 따라 아이를 가르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네 살 아들을 어린이집에 맡긴 박상희(36·여)씨는 “대개 아이는 집중력이 떨어지는데, 창밖에 있는 엄마를 보면 수업하다 말고 뛰쳐나가 수업에 방해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미정 여주대 보육과 교수는 “창문을 통해 목소리까지 듣지는 못하니 교사의 행동만 보고 부모가 오해할 수 있고, 다른 집 아이까지 관찰하고서는 ‘그 집 아이는 산만하더라’는 식으로 학부모 커뮤니티에서 말이 돌 수 있다”며 “이런 예상치 못한 파급효과까지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모 참여 보육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엄마들은 우려를 표시했다.
세 살 난 딸을 어린이집에 맡긴 정모(36·여)씨는 “우리 어린이집에도 1년에 두세 번 부모 참여 프로그램이 있는데, 직장맘은 시간을 내기가 어렵다”며 “누구 엄마는 나오고, 누구 엄마는 못 나오면 아이가 느끼는 소외감이 클 것”이라고 우려했다. 전업주부인 권경희(37)씨도 “아이가 아플 때 등 응급 상황에서도 반차 내기가 빠듯한데, 보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반차를 내는 게 가당키나 하겠느냐”며 “엄마들의 마음만 불편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서울의 한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 프로그램에 참여해 온 김유미(40)씨는 “부모 참여 프로그램이 계속 있어 어린이집 아동 학대 사건이 터졌을 때도 큰 불안감 없이 보낼 수 있어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민간분과위원회 관계자는 “정부와 정치권이 근본적인 해결 방안을 마련하지 않고, 짧은 시간에 성과를 내려는 마음에 사안을 단순하게 풀려는 경향이 있다”며 “부모와 교사가 신뢰를 쌓을 수 있도록 근본적인 제도 개혁부터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서울 원다연 인턴기자 panda@seoul.co.kr
2015-04-28 1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