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천구, 경단녀 방과후학교 강사 양성
“마을 방과후학교요? 아이들이 즐겁고 친근하게 지내고, 또 재밌게 놀 수 있는 학교면 좋겠어요. 교육이 아이들도 엄마도 행복하게 하지 못하면 문제가 있는 것 아닌가요?”(서울 양천구 신월동 최진숙씨)구는 지난달 27일부터 ‘경력단절여성’(경단녀) 중 40명을 선발해 전문 강사로 성장할 수 있게 체계적인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1단계 기초 과정에서는 아동·청소년에 대한 이해, 체계적인 교수법, 의사소통법 등 실제 수업에 필요한 노하우를 전달할 예정이다. 또 2단계 심화 과정에선 교과 통합 뮤지컬 창작 등 실습이 진행된다.
경단녀가 중심이어선지 강의 참가자들의 열의가 뜨겁다. 교육장 벽면에는 엄마들이 생각하는 교육과 마을 방과후학교에 대한 ‘자문자답’식 대자보가 빼곡하게 붙어 있었다. 한 교육참가자는 “마을 방과후학교는 대안교육 프로그램이 되는 것은 물론 공동체 복원의 통로가 될 것”이라면서 “우리 마을 방과후학교 강사들이 양천의 교육을 바꾸고, 행복한 마을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특공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강의는 핀란드와 서울의 교육을 비교하는 내용으로 진행됐다. 강의를 맡은 안승문 서울시 교육자문관은 “우리 교육은 아이들에게 기본을 가르치기 전에 경쟁부터 시키려고 한다”면서 “이렇게 되면 교육의 주체가 되는 아이들도, 엄마도 힘들어질 수밖에 없다. 복지시스템 강화는 물론 교육에 대한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구 관계자는 “초반 강의는 가르치는 기술보다 함께 교육에 대한 철학을 공유하는 게 중요해 이렇게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강의를 함께 들은 김수영 구청장은 “기존의 방과후학교가 학교와 선생님들을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또다시 학습과 경쟁 중심으로 이르는 경향이 있었다”면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에서 미술·음악·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육이 이뤄지게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여기서 교육을 받으신 어머니들이 학교에서 운영하는 방과후학교에 참여하는 것은 물론 마을공부방을 만드는 일에도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5-05-08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