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 검역 현장 점검 문형표(왼쪽)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 23일 스위스 제네바 세계보건기구(WHO) 총회 일정을 마치고 귀국한 뒤 카타르 도하발 항공기 특별검역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국립인천공항검역소를 방문, 열감지 영상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연합뉴스 |
지난 4일 바레인에서 귀국한 A씨는 발열과 기침 등의 증상이 나타나자 12일부터 사흘 연속 모두 세 곳의 병원에 다녔으며, 20일 확진 판정을 받았다. 다른 환자 2명은 A씨의 부인 B(63)씨와 A씨와 같은 병실에 입원했던 고령의 남성(76)이다. 질병관리본부는 “나머지 2명의 환자는 발열 외엔 안정적인 상태”라고 밝혔다.
보건 당국은 A씨와 밀접하게 접촉했을 가능성이 높은 4개 병원의 의료진과 환자 가족 등 64명은 1차 조사에서 증상을 보이지 않아 자택에 격리 조치했다. 또 메르스에 대한 위기경보 수준을 ‘주의 단계’로 유지하고, 중동 지역 입국자에 대한 게이트 검역을 강화하기로 했다. 보건 당국은 메르스 최장 잠복기인 2주 뒤 추가 환자가 발생하는지에 확산 여부가 달렸다고 보고, 중동 지역을 방문했거나 메르스 매개체로 알려진 낙타와 접촉한 사람 가운데 발열, 기침 등의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람은 의료기관에 방문할 것을 당부했다.
한편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스위스 제네바 세계보건기구(WHO) 총회 일정을 마치고 귀국한 뒤 곧바로 국립인천공항검역소를 방문한 자리에서 “최대 잠복기를 고려할 때 지금부터 2주간이 고비”라고 말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5-05-25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