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주민 주도 공동체 조성 계획
도는 25일 이런 내용을 담은 ‘수원 지동 따복안전마을 기본계획’을 올해 말까지 수립하고 이 계획에 따라 2017년 2월까지 3단계에 걸쳐 공동체 마을 조성을 끝내겠다고 밝혔다.
1단계로 도와 수원시가 올해 말까지 주민 의견 수렴과 지역 주민 조직 및 리더 발굴, 지역 상황 분석을 통해 기본 구상을 만들게 된다. 이어 내년 7월까지 세부 지역계획과 수준·단계별 사업 추진계획을 담은 마스터플랜을 마련할 예정이다. 3개월 뒤 종합 마스터플랜을 바탕으로 지역 주민이 동의하고 서약하는 주민협정을 체결하고 계획을 실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는 이달 말 도시계획 전문가인 배기택 박사를 총괄계획가로 임명하고 주민대표와 전문가, 도와 수원시 관련 부서가 참여하는 거버넌스를 구성하기로 했다. 도시안전, 역사, 문화·예술, 복지, 도시재생, 다문화, 사회적경제, 셉테드(cepted·범죄예방환경설계) 등 8개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자문단도 구성할 예정이다. 가장 핵심인 안전마을 조성을 위해 빅데이터를 반영한 폐쇄회로(CC)TV를 설치하고 범죄예방환경디자인을 적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동은 2012년 4월 1일 오원춘이 20대 여성을 자신의 집으로 끌고 가 성폭행하려다 실패하자 살해하고 시신을 잔혹하게 훼손한 사건이 일어난 곳이다. 이기우 사회통합부지사는 “지동마을은 관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주민이 주도하는 방식으로 추진될 것”이라며 “지동 모델이 다른 지역의 모범이 되는 표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2015-08-2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