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두 번째 시민원탁회의 열려
도시계획 전문가 등 477명이 지난 7일 대구 북구 고성동 대구시민체육관에 모였다. 이들은 저녁 식사도 거른 채 3시간여 동안 ‘시민이 꿈꾸는 대구’라는 주제 아래 열띤 토론을 벌였다.올해 두 번째로 열린 대구시민원탁회의였다. 시민원탁회의는 권영진 대구시장의 공약으로 시 현안에 대한 시민 의견 수렴을 위해 열리는 것이다. 올해 첫 원탁회의는 지난 5월 12일 달서구 학생문화센터 체육관에서 열렸다. 당시에도 500여명의 시민이 참가해 대구축제의 문제점과 대표 콘텐츠 육성 방안을 토론했다.
이번 회의는 2030년 대구도시기본계획 프로젝트와 관련 현장의 소리를 듣기 위해 마련됐다. 1부와 2부로 나눠 진행됐으며 1부는 시민들이 꿈꾸는 대구의 미래상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테이블별로 자유롭게 의견이 제시됐으며 분위기가 뜨거워지면서 토론 시간도 당초 예정된 시간(45분)을 2배 가까이 넘겼다.
비기반시설 분야에서의 대구 미래상에 대한 의견은 ‘대한민국 선도 문화인프라 도시 대구’가 33.3%로 가장 많았다. ‘누구나 배려하고 함께하는 공동체의 도시 대구’ 29.7%, ‘생애주기별로 따뜻한 복지 도시 대구’ 20.3%, ‘인재 하면 대구, 자긍심 높은 열린 교육도시’ 16.7%였다.
2부에서는 미래상 실현을 위해 어떤 전략이 필요한가를 토론했다. 여기에서는 ‘문화인프라 도시 대구’가 16%, ‘지역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해 지역할당제, 가산점 등 확대’가 15%로 1, 2위를 차지했다. ‘도시교통 인프라 구성’과 ‘산업용지 확보 등을 통한 기업 유치’가 각각 14.5%로 나왔다. ‘문화인프라 구축’ 12.4%, ‘역동적인 취업할 수 있는 인재가 모이는 도시 대구’ 10.5%, ‘고부가가치 섬유산업 육성’ 9%, ‘일자리 창출’ 8.1% 등의 의견이 제시됐다. 시는 이날 원탁회의에서 제시된 시민 의견을 검토한 뒤 ‘2030년 대구도시기본계획’에 반영할 방침이다.
권 시장은 “시민들이 대구의 미래를 함께 논의하고 공유한 의견이 지속적으로 시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
2015-09-0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