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는 제주 유배생활에서 걸작 세한도를 남겼고 추사체를 완성했다. 이중섭은 끼니조차 힘들었던 궁핍한 피란살이 속에도 칠십리 서귀포를 탐미했다.
제주 섬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유배지다. 500년 동안 200여명이 유배됐고 추사는 서귀포시 대정읍 인성리 작은 시골마을에서 9년간 나 홀로 고독한 유배생활을 했다. 추사가 거닐던 유배지 주변은 추사 유배길로 재탄생, 추사의 집념과 예술혼을 느낄 수 있는 명소가 됐다. 추사 유배 1길은 인성리 추사 유배지를 중심으로 추사기념관, 정난주 마리아 묘, 대정향교를 거쳐 다시 추사 유배지로 돌아오는 8㎞의 순환코스로 3시간 정도 걸린다. 제주추사관은 이곳에서 유배 생활한 추사를 기리기 위해 세운 기념관으로 걸작 세한도를 본떠 지었다. 추사가 머물렀던 초가집도 복원했다.
이중섭은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1·4 후퇴 때 고향인 평남 평원군을 떠나 부산에 잠시 머물다가 서귀포로 피란 왔다. 칠십리 앞바다 섶섬이 보이는 초가집 한 평 남짓한 셋방에서 부인과 두 아들을 데리고 1년여 고달픈 피란살이를 하다 그해 12월 이중섭은 서귀포를 떠났다.
서귀포는 이중섭과의 짧았지만 소중한 인연의 끈을 놓지 않았다. 1997년 그가 살았던 옛 삼일극장 일대를 ‘이중섭거리’로 이름 짓고 이중섭이 세 들어 살던 초가집을 복원했다. 2002년 11월 초가집 바로 옆에 이중섭미술관을 세웠다.
내년은 이중섭이 태어난 지 100년이 된다. 서귀포시는 이를 기념해 창작 오페레타를 제작하는 등 행사를 성대하게 마련할 계획이다.
글 사진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
2015-09-0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