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국립산업기술박물관 본격 추진… 2020년 개관 목표
|
9일 울산시에 따르면 산업기술박물관이 2020년 하반기 개관을 목표로 남구 신정동 산 195의 12 일원 23만여㎡에 추진되고 있다. 사업비는 4393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되며 2017년 하반기 착공할 계획이다. 산업기술박물관은 산업기술의 전시·보존, 교육·연구·홍보 기능을 갖추며 문화·휴식 공간 역할도 한다.
정부는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SK에너지 등 국내 주력기업이 입주해 우리나라 수출의 17%를 담당하는 울산을 대상으로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의뢰해 지난 1월부터 오는 11월까지 예비타당성 조사를 하고 있다. KDI는 경제성(BC) 분석과 관련, 이달 중 박물관·도서관·생태공원 등의 사업성을 검증할 때 사용하는 ‘조건부 가치측정법’(CVM)으로 산업기술박물관 사업 타당성을 조사할 예정이다.
하지만, 울산시는 예비타당성 조사로 산업기술박물관 사업비 축소 등을 걱정하고 있다. CVM은 박물관 건립 등 가상의 상황을 만들어 각 가구에서 부담하겠다는 금액(세금)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 과정에서 국민 1000명을 무작위로 뽑아 시설 건립에 드는 비용을 세금으로 낼 의사가 있는지와 세금을 얼마나 더 낼 수 있는지 등을 묻는다. 이런 조사에서 건립비용을 세금으로 내겠다거나 추가로 더 지급할 수 있다고 응답하기는 쉽지 않다. 이렇게 되면 당초 예상보다 사업비가 줄어 제대로 된 산업기술박물관 건립이 어려워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기술 선진국들은 19세기부터 산업기술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프랑스는 1986년에 라빌레트 과학산업박물관을, 미국은 1933년에 시카고 과학산업박물관을, 독일은 1925년에 뮌헨 독일박물관을, 스페인은 2000년에 프린시페 펠리페 과학관을 각각 건립해 산업유물을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있다.
울산시는 한국박물관협회, 국제박물관협회 한국위원회, 현대중공업, 현대자동차 등 전국 61개 기관·박물관, 기업 등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난 7월에는 울산박물관에 유물기증창구를 개설해 기업과 시민들로부터 유물을 기증받는 등 산업기술박물관 건립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편 현대경제연구원은 지난해 국립산업기술박물관 건립에 따른 생산유발 효과 7467억원, 부가가치유발 효과 722억원, 취업유발 효과 6533명 등의 분석을 내놨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2015-09-1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