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광우 前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정치권, 정부가 (국민연금공단이) 투자하는 데 간섭이나 개입을 한다면 공사화를 한다 해도 불협화음은 계속되겠지요.”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2009~2012년)이자 금융위원장을 지낸 전광우(66) 연세대 석좌교수가 친정을 향해 ‘쓴소리’를 날렸다. 국민연금공단 이사장과 기금운용본부장 간 ‘집안싸움’이 결국 ‘파경’(자진 사퇴-연임 불가)으로 끝난 데 따른 것이다. 두 사람 간 ‘불화’의 원인은 기금운용본부의 독립화(공사화)를 둘러싼 갈등에 있다. 두 사람이 떠나도 논란이 지속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국민의 노후 자금이 될 500조원 규모의 국민연금기금이 논란의 소용돌이 속에 서 있는 셈이다.
전 교수는 잡음의 근본 원인을 몸집이 커진 데 따라 기금 운용의 전문성, 독립성을 키우기 위한 ‘방법론’의 차이로 봤다. ‘한집 두 살림’이 힘들 정도로 기금 규모가 커졌다는 것이다. 1988년 당시 5000억원이던 기금은 지난 7월 말 현재 500조원을 넘어섰다.
또 전 교수는 공사화 여부와 상관없이 기금운용위원회의 개혁은 필수라고 주장했다. 기금 투자 정책 등 중요 사항을 심의, 의결하는 운용위에는 현재 복지부 장관 등 비전문가 20명이 참여한다. 이를 상설화하고 기금 운용 전문가로 채워야 전문적이고 신속한 투자처 발굴이나 의사 결정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물론 전직 수장의 ‘조심스러운 조언’과 달리 공사화 반대 목소리도 만만찮다. 기금본부를 따로 떼어 낸다고 해서 독립성과 중립성이 과연 보장될 것인가 하는 의문 탓이다. 안정성보다 수익률을 최우선 가치로 했는데 수익률이 나빠지면 누가 책임을 지겠느냐는 의견도 적잖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5-10-29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