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원, 성인 대상 자활센터 개관…의사 소통·캘리그래피 등 교육
자녀가 고등학교만 졸업하면 한시름 놓는 보통 부모와 달리 발달장애아를 키우는 부모는 아이가 교문을 나서는 순간 고민이 더 커진다. 이들은 직업을 구하기 어렵고 대중교통 이용 등 기본적 생활 방법도 모르는 경우가 흔하다.이 때문에 고교 졸업 뒤 집에서만 시간을 보내는 발달장애인이 많다. 노원구가 이러한 지역 발달장애인의 자활을 돕기 위해 교육시설 운영에 나선다.
구는 고교를 졸업한 성인 중증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노원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가 10일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발달장애는 자폐성 장애나 레트증후군, 아스퍼거증후군 등 출생·성장기 뇌 발달에 문제가 생겨 나타나는 질환으로 환자는 의사소통과 자기통제 능력이 부족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다.
노원구는 서울시가 지난해 공모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사업의 첫 운영 대상자로 뽑혀 센터를 개관하게 됐다. 센터는 ‘함께 가는 서울장애인부모회’가 위탁받아 운영한다. 구에는 모두 2314명의 발달장애인이 등록돼 있다.
김성환 구청장은 “특수학교를 졸업했지만 갈 곳 없는 성인 중증 발달장애인들에게 이번 평생교육센터 개관은 희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6-03-09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