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부터 5년 연속 증가세…버섯 등 단기소득임산물 ‘최다’
지난해 임산물 생산액이 사상 처음으로 8조원을 돌파했다.
|
임산물 생산액은 2011년 5조 7267억원에서 5년 연속 증가해 지난해 8조원을 넘어섰다.
생산액은 크게 단기소득임산물 2조 9928억원, 토석 2조 7369억원, 순임목 2조 1405억원, 용재 4676억원 순으로 많았다. 순임목은 1년 동안 산에서 자란 나무의 양이다. 용재는 연료 외에 건축·가구에 쓰이는 목재를 의미한다.
단기소득 임산물 중에서는 버섯류(2441억원) 생산액이 전년보다 19.5% 증가했다. 조경재(7360억원)는 15.4%, 약용식물(5622억원)은 10.1%, 산나물(3832억원)은 3.7% 늘었다. 반면 밤, 대추, 호두 등의 수실류(7246억원)는 생산액이 15.7% 감소했다.
지역별 단기소득 임산물 생산액은 경북이 6411억원으로 지난해에 이어 가장 많았다. 이어 강원(4324억원), 전북(4082억원), 전남(3207억원), 충남(3168억원) 등의 순이었다.
류광수 산림청 기획조정관은 “지난해 어려운 경제 여건에도 임가의 꾸준한 노력으로 임산물 생산액이 8조원을 돌파했다”며 “앞으로도 임업경영 지원, 임산물 판로 개척 등의 지원정책으로 임산물을 통한 소득 증대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6-08-1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