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은 31일 신기술 및 융합·혁신제품을 선제적으로 구매해 창업·벤처기업의 자생력을 높이고 해외시장 진출 등 성장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창업·벤처기업이 3만개를 넘어섰지만 다수업체가 창업 후 3∼7년인 ‘죽음의 계곡’을 넘지 못해 도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달청은 창업·벤처기업이 공공기관과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인 벤처나라를 구축해 10월 서비스할 계획이다. 벤처나라는 나라장터 종합쇼핑몰에 입점하기 어려운 신기술, 융합·혁신 제품과 서비스를 거래할 수 있다. 종합쇼핑몰은 연간 거래실적이 3000만원 이상인 업체가 3곳 이상 돼야 계약 가능하다.
이에 따라 기술력이 있고 제품력을 갖춘 창업·벤처기업은 실적이 없어도 전용 쇼핑몰을 통해 공공기관에 납품할 수 있다. 벤처나라 실적을 토대로 다수공급자계약(MAS)이나 우수조달물품으로 판로를 확대하고 이를 활용해 해외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기술력이 우수한 창업초기기업의 공공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새싹기업 지원 프로그램도 확대한다. 우선 새싹기업 자격이 창업 후 5년에서 7년 이내로 확대하고 유망 제품은 벤처나라에 등록해 판로를 직접 지원한다. 나라장터 엑스포 ‘새싹기업관’ 운영과 해외 바이어·공공기관 구매상담회 참가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키로 했다.
또 새싹기업과 벤처나라 등록기업을 해외조달시장진출기업(G-PASS 기업)으로 선정해 해외 조달시장 진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백명기 구매사업국장은 “벤처나라가 구축되면 벤처·창업기업 제품·서비스와 2만여개 수요기관간 연결고리가 구축된다”면서 “공공부문이 기술개발제품을 선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민간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