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16일 발표한 ‘2015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다문화 출생아는 1만 9729명으로 전년보다 6.8% 감소했다. 2012년까지 해마다 증가했던 다문화 출생아 수는 2013년부터 줄기 시작했다. 전체 출생아 중 다문화 자녀가 차지하는 비중은 4.5%로 전년(4.9%)보다 0.4% 포인트 감소했다.
지난해 다문화 출생아 가운데 첫째아이는 53.2%, 둘째아이는 37.8%였으며 셋째아이 이상은 8.9%를 차지했다. 2008년에는 다문화 출생아 10명 중 7명(68.1%)이 첫째아이였다. 다문화 혼인 감소로 막 결혼한 신혼 부부가 낳는 아이가 줄고, 기존의 다문화 부부들이 아이를 2명 이상 낳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다문화 출생아가 감소하는 원인은 2010년부터 본격화된 국제결혼 건전화 조치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국제결혼 중개업체들의 난립을 막기 위한 자본금 제한 조건이 생기고, 국제결혼 때 소양교육이 의무화되는 등 정부가 국제결혼의 부작용을 막기 위한 정책을 펴면서 다문화 혼인 자체가 줄었고 자녀 출생도 감소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6-11-1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