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행 활성화 추진위와 머리 맞댄 김영배 구청장
“동행(同幸)을 공동체 내 DNA로 만들려면 구체화하고 활성화하는 게 중요합니다.”
|
김영배 성북구청장이 지난 4일 구청에서 동행을 구체화하는 작업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성북구 제공 |
지난 4일 성북구청 미래기획실에서는 김영배 성북구청장을 비롯해 15명의 추진위원(위촉직 11명, 공무원 4명)이 모였다. 이 자리에서 김 구청장은 위원회의 활동을 ‘매듭’에 비유하기도 했다. 김 구청장은 “성북구 곳곳에서 발현하고 있는 동행의 씨앗이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위원회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하다”며 “시민 생활 속에 동행이 어떻게 지속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을지 이론적 근거와 지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동준 성공회대 협동조합경영학과 교수는 이날 ‘성북구 동행 실천의 확산 및 활성화를 위한 전략 수립 연구보고’를 발표했다. 발표에 앞서 김 교수는 “자치구의 모든 정책이 동행으로 치부될 수 있는 상황에서 어디까지를 동행으로 봐야 하는지, 이 독특한 성격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지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동행은 지역 주민의 아이디어로 시작되고 지역 주민이 성과를 배분한다”며 “한쪽에서 일방적으로 베푸는 게 아니라 서로에게 도움을 주는 궁극적인 방법”이라고 밝혔다. 이어 “의사소통과 협의를 이뤄가는 점, 새로운 정책 제도화에 기여했다는 점 등의 특징이 있다”고 덧붙였다.
동행과 비슷한 사례를 가진 다른 자치구와의 비교 작업도 이뤄졌다. 동행은 물질적인 보상으로 촉진되는 게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인정되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부분에서 강력한 동기부여를 일으키고 촉진되는 특이성이 있었다.
김 교수는 동행 활성화 전략으로 ‘동행 플랫폼 구축’을 제안했다. 김의영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는 지역 내 대학이 많다는 점을 활용, 대학과의 협업을 제안했다. 심재철 전 석관아파트 입주자대표는 동행의 구체적인 사례를 커리큘럼으로 만들어 평생학습관 등에서 교육을 통해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김 구청장은 “이런 고민들이 좀더 나은 공동체로 나아가는 새로운 장을 여는 데 굉장히 의미 있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