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세훈 한국 독일문화원 원장
지난 3일 베를린 한국문화원에서 강영숙 작가 초청 문학대담 행사가 열렸다. 주제가 된 작품은 2006년에 발표된 장편소설 ‘리나’였다. 인간다운 생존을 허락하지 않는 고향을 떠난 16살 여주인공 리나는 낯선 외국에서 난민으로 여전히 고난의 행군을 계속한다. 그녀의 최종적인 목적지라 할 수 있는 P국 역시 그다지 희망적이지 않았다. 독자들이 쉽게 상상할 수 있음에도 작가는 이 세 공간을 굳이 북한, 중국, 남한으로 명기하지 않았다. 강 작가가 10여 년 전 발표한 이 작품은 오히려 독일을 비롯해 세계 곳곳에서 현안으로 떠오른 난민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듯한 인상을 준다. 실제로 행사에 참석한 50여명의 현지 청중들이 세계사적인 주제를 놓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지난 3일 베를린 한국문화원에서 열린 강영숙(가운데) 작가 초청 문학대담 행사에서 강 작가가 외국인 참석자들에게 2006년 출간한 장편소설 ‘리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독일 한국문화원 |
아쉽게도 한국문학의 외국 소개는 만족할 만한 수준이 아니다. 대중문화 중심의 한류 열풍은 독일에서도 쉽게 느낄 수 있긴 하다. 지난해 9월 가수 지디의 베를린 공연 때는 1만 5000석이 순식간에 매진됐고, 3월 베를린 영화제에서는 ‘밤에 해변에서 혼자’의 김민희가 여우주연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반면 한국문학 작품은 현지 권위 있는 대형 출판사에서 관심을 보이는 사례가 드물고, 서점에서도 책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렇게 열악한 상황은 유명 서점에 독자적인 코너를 가진 중국 문학이나 일본 문학과 크게 대비된다.
# 난민 등 세계인 관심 주제 경쟁력 기대
문학은 작가의 역량 문제를 떠나 작품의 배경이 되는 사회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한다. 따라서 외국 독자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장르가 아니다. 그럼에도 문학은 중요하다. 그 사회를 제대로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척도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한국문학번역원에 근무하다 2016년 1월 주독일 한국문화원장으로 부임한 이후 문학 한류 구축에 나름 노력해왔다. 매달 첫 번째 수요일 저녁문화원에서 ‘한국문학클럽’ 행사를 열고 독일어로 번역된 한국문학 작품에 대해 토론하거나 작가를 초청해 독자와의 만남을 해왔다. 한국문학클럽을 2년 동안 운영한 결과 고정 회원도 20여명 생겨났다. 최근에는 베를린 자유대학의 한국학과 학생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다.
# 번역가 양성 절실… 소수 언어의 한계 넘어야
지난해에도 우리 문화원 주최로 한국작가 초청 문학행사를 모두 5회 열었다. 지난해 7월에는 한국문학번역원과 공동 기획으로 시인 3명과 평론가 1명을 초청해 독일뿐만 아니라 스페인과 이탈리아에서도 행사를 열기도 했다. 독일 한국문화원은 올해에도 문학 행사를 이어 갈 계획이다. 오는 30일 김혜순 시인 초청 작품 낭독회가 잡혀 있고, 다음달 7일 심보선 시인을 한국문학클럽에 초대할 예정이다.
한국문학은 한국어라는 소수 언어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세계 문학 반열에 오르려면 반드시 번역을 거쳐야 한다. 번역의 중요성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그리고 우수한 번역자는 하루아침에 양성되지 않는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한국문학 번역가 양성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도 절실하다.
2018-01-22 3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