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참여로 주목받는 ‘광주형 일자리’
현대자동차가 ‘완성차 광주공장’ 건립에 투자키로 하면서 ‘광주형 일자리’ 모델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광주시는 4일 광주공장에서 연간 10만대를 생산하고, 1만 2000개의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현대차와 협의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사업은 현대차 노조의 반발과 투자 방식, 생산 차종, 적자 발생 시 책임 소재, 적정 임금 등 난제가 쌓여 있다.현대자동차가 ‘광주형 일자리’ 사업으로 추진하는 ‘완성차 광주공장’ 건립에 투자 의향서를 제출한 가운데 4일 광주 빛그린국가산업단지에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 관계자가 현장에 나온 현대차 실무진에게 공장 부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광주 연합뉴스 |
광주시는 그동안 독일 슈투트가르트의 폭스바겐, 일본 기타큐슈의 닛산 자동차 등 지역사회 밀착형 경영사례를 연구해 왔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자동차 대기업을 상대로 투자유치에 나섰고, 현대차가 최근 투자의향을 내비치면서 본 협상에 돌입했다.
광주시는 이날 정종제 행정부시장을 단장으로 한 협상단을 현대차 본사에 보내 투자 방식과 조건 등 구체적 협의에 착수했다. 현대차 기술 실무진도 같은 날 광주 빛그린산업단지를 찾아 부지 조건을 살피는 등 사업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이와 달리 넘어야 할 산도 만만찮다. 당장 현대차 노조가 사측의 움직임을 우회생산을 위한 방편으로 규정, 반대 투쟁에 나설 움직임이다. 광주형 일자리에 대해서도 반발했다.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는 정규직의 임금 수준을 4000만원으로 하향 평준화하는, 정규직도 아니고 비정규직도 아닌 중규직”이라며 “즉각 철회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광주 자동차 공장은 현대차 계열이 아닌 독립 신설 법인으로 출발한다. 시가 경영을 책임지고, 현대차는 위탁 생산과 연구개발·설계·판매·투자 자문 등의 역할을 맡는다. 공장 명칭도 ‘현대차 광주공장’이 아니라 ‘광주시 자동차공장’으로 예상된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