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2시간 근무’ 등 대처 안이
이달초 “문제 생기면 그때 보완”이젠 “애로 기업 필요한 지원”
|
정책 논란과 함께 주무 부처 장관이 안이한 자세를 보인다는 비판이 일자 김 장관은 자신의 트레이드마크와 같은 ‘현장’에서 답을 찾는 방법을 선택한 것으로 보입니다. 자세를 낮춰 현장에서 노사의 목소리를 듣겠다는 취지입니다. 김 장관은 취임 이후 줄곧 ‘현장’을 강조했습니다. 지난해 약 2주간 운영한 현장노동청에서는 2989건의 민원과 제안을 접수했고, 올 초 일자리 안정자금 신청률이 저조할 때는 직접 현장을 누비며 사업주들의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이날 근로시간 단축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 관계자들은 ‘기업이 탄력근로제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요건을 완화해야 한다’, ‘추가 인력을 고용할 때 숙련 인력을 채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해 달라’고 제안했습니다. 김 장관은 “아직 준비가 충분하지 못하거나 준비에 애로를 느끼는 기업들에 대해서는 필요한 지원 방안을 마련해 시행하도록 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서울 신촌의 현장노동청에서 진행된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와의 만남에서도 김 장관은 “(산입범위 확대로) 기대소득이 낮아지는 노동자들을 파악해 맞춤형 지원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자세를 낮췄습니다.
다시 현장 행보에 시동을 걸며 노사 달래기에 나선 김 장관이 꽉 막힌 노정 관계를 풀어내고, 주 52시간 근무제를 안착시킬 수 있을까요. 김 장관이 혼란을 빚고 있는 고용노동 정책을 어떻게 풀어낼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8-06-1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