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퀴 모양 망 이용’ 전통 방식
하동·광양, 해수부에 신청 예정갈퀴 모양의 손틀방류(거랭이)를 이용해 재첩을 잡는 전통방식의 ‘섬진강 재첩잡이 어업’이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등재될 전망이다.
경남 하동군은 16일 섬진강을 사이에 둔 이웃 전남 광양시와 함께 이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거랭이는 모래가 빠져나갈 수 있게 촘촘하게 구멍이 뚫린 망이 부착된 쇠갈퀴를 기다란 대나무 막대 끝에 고정해 놓은 재첩잡이 도구다. 거랭이로 강바닥을 긁으면 모래와 어린 재첩은 빠져나가고 굵은 재첩만 망 안에 남는다.
과거 두 지역에서 3000명이 넘는 어민들이 재첩을 채취했으나 상류 댐 건설 등으로 강 하류 유수지가 줄고 염분 농도가 증가해 재첩 서식량이 감소하는 탓에 어민 수도 줄고 있다. 현재 섬진강 재첩 채취 어민은 하동 400여명, 광양 100여명 등 모두 500여명에 그쳐 재첩 서식지 보호와 채취방식 보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하동군과 광양시는 여러 차례 협의를 거쳐 오는 20일까지 해양수산부에 등재지정 신청서를 낼 예정이다. 해수부는 서류심사와 현장을 확인한 뒤 최종 평가해 올해 말 등재 여부를 결정한다.
하동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2018-07-1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