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금사과’… 늦더위에 생육 나빠 가격 고공행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울릉도 이틀 간 300㎜ 폭우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팔당서 수돗물 공급받는 인천, 서울시보다 3배 비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전남 의대 1곳·대학병원 2곳 세운다, 동·서부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복지 코디·찾동 등 ‘지속가능한 정책’ 진화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7년의 복지전달체계 살펴보니

서울 서대문구가 새로운 복지전달체계를 기획하고 뿌리를 내린 데에는 일관된 목표 아래 7년여에 걸쳐 해마다 목표 수준을 조금씩 높이며 꾸준히 정책을 추진한 게 원동력이었다.

주민센터에서 복지업무를 담당하는 복지 코디네이터들과 대화 하고 있는 문 구청장(왼쪽).
서대문구 제공
첫 단추부터 잘 끼웠다는 평가를 듣는다. 2012년 ‘동 복지허브화’를 2곳에서 시범적으로 펼친 다음 2013년 14개 모든 동 주민센터로 넓혔다. 구청과 주민센터 업무를 조정하고 주민센터에 방문간호사와 복지코디네이터를 배치했다. 지역사회 복지협의체 운영에도 들어갔다. 2011년에는 주민센터 복지인력이 24%였지만 2013년 2월엔 67%로 늘어났다.

2014년부터는 찾아가는 방문복지 서비스 제공으로 사각지대 해소에 나섰다. 복지업무 공무원들이 정기적으로 현장을 방문하도록 해 취약계층 발굴과 예방적 복지를 실현하자는 취지였다. 2015년에는 전국 처음으로 복지방문지도를 구축하는 등 정보기술(IT)을 활용한 복지전달체계 효율성을 도모했다. 행복1004콜센터와 맞춤 복지검색 사이트도 개설했다.

2016년엔 찾아가는 주민센터 사업을 전면화했다. 하루도 빠짐없이, 민관이 함께, 보건·복지·마을이 연계한다는 뜻에서 ‘서대문 1·2·3 행복사업’을 시행했고 방문복지를 더 체계화시켰다. 2017년엔 서대문형 민관 상생협력 체계를 개발했다.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에 민관 협력으로 13개 기관이 컨소시엄 협약을 맺어 복지 대상자에게 필요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했다.

문석진 구청장은 “보건·복지·마을, 민관 연대를 통해 복지 생태계를 구축해 지속 가능한 마을복지공동체를 실현하는 게 최종 목표”라고 밝혔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8-10-12 18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