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산림청에 따르면 국민 1056명을 대상으로 벌채 관련 인식조사 결과 ‘부정적’이라는 응답이 28.3%로 ‘긍정적’(25.7%)이라는 평가보다 많았다. 벌채(목재생산) 용어를 안다는 응답은 55.2%로 지역 규모가 작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인지 비율이 높았다.
벌채에 부정적인 평가로는 71.3%가 ‘산림·생태환경 파괴’를 꼽았다. 벌채에 대한 이미지로는 ‘나무 베는 것, 자르는 것’(19.6%)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산림·환경훼손(6.4%), 민둥산(4.4%), 고목 제거(2.6%) 등으로 나타났다.
다만 종이와 목제품 생산을 위한 벌채 필요성에는 82.0%가 동의했다. 응답자의 66.3%는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목재 대부분이 수입산이라는 사실을 ‘안다’고 답했지만 벌채를 목재생산림에서 한다(27.2%)는 것과 탄소 저장 등 긍정적인 효과(31.4%)에 대한 인지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노령화된 나무보다 벌채 후 새로운 나무를 심으면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2배 늘릴 수 있고, 생산된 목재는 건축·가구 등 제재목으로 활용 시 50년 이상 탄소 저장하는 효과가 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9-12-13 1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