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행정] 산사태 취약지 정비 나선 박준희 구청장
10년간 산사태 예방사업에 270억 투입박 구청장 “지속적으로 정비해야 효과”
배수구 나뭇가지·물속 토사 등 직접 제거
산사태현장예방단 30명 추가 고용·운영 “사방댐 등 산사태 예방 시설을 설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토사를 걷어내는 등 지속적인 정비 작업을 해야 효과를 제대로 볼 수 있습니다.”(박준희 관악구청장)
역대 가장 긴 장맛비로 전국적으로 시설물 피해는 물론 인명 피해가 속출한 가운데 지난 12일 박 구청장은 인헌동 산 17-3 일대를 찾았다. 장맛비는 소강상태에 접어들었지만, 빗물에 휩쓸려 계곡을 타고 내려온 토사를 걷어내고 현장을 살피기 위해서였다.
박 구청장은 “2011년 서초구 우면산 산사태 이후 관악구는 10년간 산사태 취약지역에 270억원을 들여 예방사업을 했다”며 “수목 제거 등 정비 작업을 미리 해놓지 않으면 더 큰 위험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절대 소홀히 할 수 없다”고 말했다.
현재 관악구에는 37곳의 산사태 취약지역이 있다. 이곳은 산사태로 인한 인명이나 재산 피해가 우려되는 곳으로 사방사업을 시행하기 전 원활한 공사와 사고 예방을 위해 사전에 지정하는 구역이다.
박 구청장은 “이미 관악구의 산사태취약지역 37곳 모두 사방 사업을 완료한 상태지만, 사업이 완료됐다고 하더라도 하자 점검 등의 시간을 거친다”며 “내년 상반기에 29곳이 산사태 취약지역에서 해제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관악구는 5명으로 구성된 산사태 현장예방단을 운영했는데 최근 30명을 추가로 고용했다. 이들은 산사태 취약지역을 비롯해 급경사지(위험절개지), 집수정, 배수로 등을 점검한다. 산사태취약지역을 순찰할 뿐 아니라 토사나 위험 수목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산사태 예보나 경보가 있을 때 인근 주민을 대피시키는 역할도 한다.
박 구청장은 “이번 수마로 피해를 본 지역을 집중 점검해 또다시 주민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재난 대책에 모든 행정력을 동원하겠다”며 “유관 기관과의 협조 체계를 구축하고 강풍에 대비해 간판 등 시설물 관리, 침수취약지역 빗물받이 설치 등으로 주민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20-08-14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