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의원은 이날 서울시교육청 학교보건진흥원장을 상대로 현재 서울 관내 학교 중 전교생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식당을 보유한 학교가 얼마나 되는지 질의했다. 이에 대해 학교보건진흥원장은 “현재 서울 관내 학교 1,336곳 중 990곳(74%)이 식당에서 급식을 운영하고 있는데, 식당 배식 학교는 2교대 혹은 3교대 방식으로 급식을 진행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아울러 이 의원은 “현재 서울 관내에 급식실이 협소한 학교들이 많다”며, “급식실이 작거나 없는 탓에 불가피하게 빈 교실에서 급식을 진행하고 있는 학교들이 많은 상황”이라고 지적한 후, “교실배식이 진행될 경우 초등학교 저학년 교실은 담임 선생님 1명이 배식을 전담하게 되므로 배식이 식단에 맞게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아이들 하나하나 살피기 어렵고, 줄 서기 등 방역수칙에 맞게 배식 질서를 통제하기도 어렵다”며 우려했다.
이에 학교보건진흥원장은 “아직 부족한 점이 많긴 하지만 현재 교실배식을 진행하고 있는 학교에 대해서는 거리두기에 따른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급식 안전 매뉴얼 제공, 간편식 제공 등의 조치를 통해 감염 위험을 차단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마지막으로 이 의원은 “초등학교 저학년 급식, 특히 교실에서 진행되는 저학년 급식이 과연 코로나19 방역수칙에 맞게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해 학부모들의 우려가 높은 상황”이라며, “향후 서울시교육청은 교실배식 학교들을 위해 추가 배식 도우미 배치 등 맞춤형 방역관리 대책을 마련하여 식당 배식 못지않게 원활한 급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