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가 인사이드] 국적 불명 외래어 행정용어 남발
국·한·영문 혼용하며 유행어·약어까지경기 공문서 46% 공공언어 잘못 사용
우리말 바로쓰기 관련 조례 등 사문화
국민 36%가 ‘말의 의미 몰라 곤란 경험’ ‘김치 밀키트를 이용해 실시간 온라인 줌으로 각 가정에서 김치를 담그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광주시가 오는 23~24일 열리는 ‘가을김치 한마당 행사’를 앞두고 이를 알리기 위해 내놓은 보도 자료의 일부다. 김치 명인들이 인터넷 생중계 방송으로 김치 담그는 방법을 알려 준다는 내용이다. 이같이 짧은 문장에 외래어가 세 개(밀키트·온라인·줌)나 들어 있다.
‘언택트·블렌디드러닝·포스트 코로나·녹색뉴딜·플랫폼·컨트롤타워…’
정부와 지자체 등 각급 공공기관이 배포한 각종 홍보용 자료에 나타난 외래어 남용 사례다. 국·한·영문 혼용에 유행어나 약어까지 보태지면서 공공기관이 사용하는 언어가 갈수록 오염되고 있다. 이런 추세는 경기도가 최근 산하 29개 실·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 특정감사에서도 확연히 드러났다. 감사 결과에 따르면 올 상반기 생산한 공개 문서 3만 3422건 중 1만 5467건(46.3%)이 ‘국어기본법’에 따른 올바른 공공언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잘못 사용된 공문서 속 단어는 모두 5만 2265개로 지적됐다. 이 중 어려운 한자어가 2만 7767차례(53.1%)나 사용되면서 전체 순화 대상 용어의 절반을 넘었다. 다음으로는 ▲외국어(1만 2254회, 23.4%) ▲로마자와 한자 표기(8740회, 16.7%) ▲일본어 투, 권위적 표현(3412회, 6.5%) ▲차별어(92회, 0.1%) 등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지적된 단어는 ‘통보’로 모두 3323차례 사용됐다. 이는 ‘알림’으로 순화해서 써야 한다. 이 밖에 ▲송부(→보냄) 2029회 ▲홈페이지(→누리집) 1802회 ▲道(→도) 1706회 ▲의거(→따라) 1368회 등도 자주 사용됐다.
광주시는 지난해 전남대 국어문화원에 ‘공공언어 개선을 위한 공문서 실태 조사’를 맡겼다. 해당 조사에서도 ‘직장맘’을 ‘일하는 엄마’로,‘원스톱’을 ‘한자리’ 또는 ‘일괄’로 각각 표기할 것을 주문받는 등 매년 비슷한 지적이 되풀이되고 있다. 또 국어진흥위원회 등을 구성해 국어 사용 환경을 개선하고 행정용어 순화에 관한 사항을 심의·자문한다는 규정도 있지만 형식적인 운영에 그치고 있다.
우리말 사용에 대한 이런 소극적 태도는 공공용어에 대한 낯섦과 행정효율 저하로 이어진다. 국립국어원이 지난해 실시한 ‘2020 국민의 언어의식조사’에서도 이와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조사에서 신문·텔레비전에 나오는 말의 의미를 몰라서 곤란했던 경험이 자주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36.3%로, 5년 전인 2015년 5.6% 대비 크게 증가했다. 주로 전문적인 분야에서 사용되는 언어(53.3%), 수준 높은 어려운 한자어(46.3%), 유행어나 신조어(43.1%)의 의미를 몰라서 곤란함을 겪은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등은 최근 감사 결과를 토대로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 의무교육 방안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감사에 참여했던 김명진 한글문화연대 부대표는 “국어 바르게 쓰기 조례를 제정했는데도 잘 지켜지지 않고 있다”며 “정책명·행사명 등에서 불필요하게 외국어를 사용한 경우가 많았다”고 지적했다.
서울시교육청도 최근 외국어와 어려운 한자어, 신조어가 범람하는 환경 속에서 우리말을 지키기 위해 ‘바르고 쉬운 행정용어 연구회’를 운영하고 있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2021-10-19 1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