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임수송비 2784억… 전체 15.9%
전국 지하철 “국비로 손실 보존을”
|
3일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운수 수입은 1조 1542억원으로 전년보다 3.27% 감소했다. 2019년 운수 수입은 1조 6367억원이었으나,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영향으로 2020년 1조 1932억원으로 줄어들었다. 공사는 “코로나19로 인한 운수 수입 감소분 추정액은 4825억원으로, 지난해 당기순손실 예상액(1조원 초반)의 절반에 가까운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연간 수송 인원은 19억 5103만명으로 전년(19억 3446만명)보다 0.9% 늘어나는 데 그쳤다. 코로나 이전인 2019년(26억 7143만명)과 비교하면 4분의 1 이상(약 27%) 감소했다. 지난해 지하철 1∼8호선을 무료로 탄 인원은 2억 574만명으로, 전체 승차인원의 15.9%를 차지했다. 이들의 수송을 운임으로 환산하면 약 2784억원이다. 무임수송 인원 중 65세 이상 어르신은 83.0%로 전년보다 1.2%포인트 증가했다.
지하철 운영기관은 노인복지법, 장애인복지법 등에 따라 노인·장애인 등이 무료로 지하철을 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 등은 나날이 늘어나는 무임수송 손실에 대응하기 위해 국비 지원을 요구해왔다. 공사 관계자는 “전국 6개 도시철도 운영기관(서울·부산·인천·대구·대전·광주) 노·사는 지난달 무임수송 국비보전에 대한 건의문을 채택했다”며 “국회에 도시철도법 개정을 요청하는 한편,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 등 정당 대선캠프에 건의문을 제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장진복 기자
2022-02-0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