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원오 성동구청장. 성동구 제공 |
지방자치단체 정부혁신평가는 자율혁신, 참여와 협력, 포용적 행정, 신뢰받는 정부, 혁신확산 및 국민체감 등 5개 항목 14개 지표를 대상으로 평가한다. 평가에는 22명의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지자체 혁신평가단’과 총 204명의 ‘국민평가단’이 참여했다.
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구민 모두가 똑똑한 기술의 혜택을 누리는 ‘스마트포용도시’를 핵심정책으로 내걸고 추진한 주민 참여 확대 사례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전국 최초 ‘필수노동자 지원 조례’ 제정해 지난해 5월 법제화를 이끈 ‘필수노동자 지원정책’, 자영업자들의 일터를 지켜주는 ‘젠트리피케이션(둥지내몰림)방지정책’ 등이 대표적이다.
성동형 리빙랩인 ‘성동구민청’과 민·관·학 거버넌스 ‘경동초 안전한 통학로 조성’, 협업을 통한 자원재활용 ‘커피박 재활용 사업’과 2021 주민생활 혁신사례로 선정된 ‘성동형 스마트쉼터’, ‘스마트 보안등’ 사업도 우수 사례로 꼽혔다. 전국 최초로 모바일에서 대기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선별진료소 대기인원 실시간 안내시스템 구축’ 사업 등도 다른 자치단체와 차별화된 정책으로 인정받았다.
장진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