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공약 실천
이성 서울 구로구청장이 2010년 구청장 출마 당시 선거 공약 1호로 내세운 게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였다. 주변 참모들은 모두 당황스러워했다고 한다. 다른 후보들이 한창 ‘도시 개발’에 집중하고 있을 때 이 구청장이 내건 구호가 상대적으로 ‘한가한 소리’로 들렸던 까닭이다.주변의 우려에도 이 구청장은 첫 번째 임기 4년간 공약을 지키기 위해 보육 환경을 개선하는 데 주력했다. 자녀가 행복해야 부모도, 가정도, 더 나아가 도시 전체도 행복해진다는 이유에서다. 덕분에 10여년 전 34곳에 불과했던 국공립 어린이집은 17일 현재 97곳으로 늘어났다. 또 우리동네키움센터 17곳, 온종일돌봄센터 16곳에서는 수업을 마친 초등학생을 부모가 귀가할 때까지 돌보고 있다. 도서관도 눈에 띄게 늘었다. 10여년 전 40여곳밖에 안 되던 도서관이 현재 총 113곳으로 3배 가까이 늘어 그 수가 서울 자치구 중에서도 최상위권에 든다.
교육 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도 아끼지 않고 있다. 과거 구로구는 아이를 키우면 대학을 보내기 어렵다는 얘기가 있을 정도로 교육 환경이 열악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는 매년 1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대입 지원 프로그램, 학부모 교육, 혁신교육지구 사업, 학습지원센터 운영, 원어민 외국어 교실 등 다양한 교육 사업을 펼치고 있다. 그 결과 서울 소재 대학교 진학률도 2014년 6.6%에서 지난해 13.5%로 두 배 이상 늘었다.
이 구청장은 “앞으로도 아이들은 행복하고, 부모는 안심할 수 있는 돌봄 환경을 조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희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