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시청사 전경 |
시의 물가안정 대책은 공공요금, 착한가격업소, 유통, 물가조사 등 4개 분야로 나눠 마련됐다.
시는 오는 7월까지 ‘착한가격업소’의 안정적 지원을 위한 조례를 제정하고, 추경예산을 확보해 착한가격업소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지정하는 착한가격업소는 효율적인 경영으로 소비자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물가안정 모범업소다.
유통 분야 물가안정 대책도 마련했다. 농수산물 유통 관련 단체와 유통체계 개선 협약을 추진하고, 농수산물 유통 민관 실무협의회 운영을 검토한다.
물가 상승에 따라 품귀 현상이 발생하면 대규모 점포와 협력해 해당 품목의 판매 수량을 제한하는 등 적극적으로 문제 해결에 나설 예정이다.
올해 4월 기준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4.8%로, 2008년 10월(4.8%) 이후 13년 6개월 만에 최고 수준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우크라이나 사태 등 국제적 요인으로 인해 소비자 물가는 지속해서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시 관계자는 “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코로나19 장기화로 고통받았던 시민들이 또다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물가 안정화 대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물가 상승을 억제하겠다”고 밝혔다.
신동원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