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들 ‘시내버스 무료화’ 확산
주민들 이동 편리해져 외출 증가
관광객도 ‘공짜’… 생활인구 늘어
“투입된 예산보다 경제적 효과 커”
충북 보은군은 지난 1일부터 전 군민을 대상으로 시내버스 무상 운행을 시행 중이라고 14일 밝혔다. 이용 횟수에 제한이 없고 관광객도 공짜로 이용할 수 있다. 군은 탑승객 수 등을 반영해 월별로 버스회사에 운송수익금을 준다. 이를 위해 버스에 계측기를 설치했다. 보은지역에서 운행 중인 버스는 총 24대다.
군 관계자는 “노인부터 시작한 뒤 전 군민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단계별로 시행하려면 시스템 구축과 교통카드 제작비 등 수억원의 초기 비용이 발생해 전면 시행키로 했다”고 말했다.
충북에서 공짜 버스를 도입한 것은 보은군이 세 번째다. 공동생활권인 진천군과 음성군이 손을 잡고 올해 1월부터 무료 버스 사업을 시작했다. 양 지역을 오가는 시내버스까지 무료다.
경남지역에서는 산청군이 지난 5월부터 버스 전면 무료화에 나섰다. 경북에선 문경시, 청송·봉화·의성군 등이, 전남에선 완도·진도·영암군 등이 이 사업을 시행 중이다.
지자체들이 공짜 버스에 적극적인 것은 군민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 수 있어서다. 이동 편의성 향상으로 주민들 외출이 늘어나 전통시장과 지역 상권이 살아날 수도 있다. 농촌은 대중교통이 불편해 승용차를 많이 이용하는데 공짜 버스가 생기면 대중교통 활성화도 기대된다.
관광객도 무료로 버스를 탈 수 있어 생활인구 유입도 늘어날 수 있다. 승하차 시간이 단축되고 버스 기사가 승객의 안전한 탑승에만 집중할 수도 있다.
충북도 관계자는 “큰돈 들이지 않고 큰 효과를 누릴 수 있어 기초단체들이 적극적이다”며 “괴산군도 공짜 버스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청주 남인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