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프로테니스(WTA) 투어 코리아오픈(총상금 112만 9610달러·약 15억 6000만원) 개막을 앞두고 제기됐던 부실 운영 우려가 안타깝게도 현실화했다.
지난 13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테니스경기장에서 막을 올린 코리아오픈은 16일 오후 수도권 전역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경기 일정이 지연됐다. 기상 상황에 따른 경기 지연은 다른 대회에서도 흔한 상황이지만, 문제는 초청 선수들이 대기하며 식사하고, 휴식을 취하는 공간인 ‘플레이어 라운지’에서 터졌다.
이날 낮 서울의 강수량은 16.1㎜로 집계됐지만, 테니스장에는 물난리가 벌어졌다. 라운지에서는 일부 선수들이 식사를 하며 쉬고 있었지만 천장에 물이 새면서 선수들이 자리를 옮기고, 긴급 투입된 현장 인력이 임시로 쓰레기통과 양동이 등을 동원해 물을 받으며 보수 작업을 진행했다.
이번 대회의 디렉터를 맡고 있는 이진수 JSM 대표는 “선수 출입구 쪽은 물이 차올라 홍수가 날 판이다”며 “선수 보기 창피해서 얼굴을 못들 지경이다”고 씁쓸해했다.
하지만 대회장으로 쓰이는 시설은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크게 낙후한 상황이다. 매년 코리아오픈을 앞두고 전면 개보수와 리모델링의 필요성이 언급되지만, 시설 관리 주체인 국민체육진흥공단과 산하 기관 한국체육산업개발은 뒷짐만 지고 있다.
대한테니스협회 관계자는 “내일 한국체육산업개발 측과 회의가 있는데 이 문제에 대해 강력히 항의하겠다”고 말했다.
박성국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