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평 국립보건원 부지, 서북권 신경제 중심지 변모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은평구, 민원서비스 종합 평가 3년 연속 ‘우수’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성북구, 중랑천서 110년 숨어 있던 땅 9555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성동 ‘고혈압·당뇨병 교육센터’ 건강 맛집으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중기부, '인공지능(AI) 창업기업(스타트업 ) 육성을 통한 인공지능(AI) 활용·확산 방안' 발표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20일(목) 최상목 권한대행 주재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AI 스타트업 육성을 통한 AI 활용확산 방안'을 발표하였다.

최근 미국, EU, 프랑스 등 주요 선진국은 수백조원 규모의 AI 분야 대규모 민간투자 유치를 발표하였고,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SW·알고리즘 혁신을 통해 미국 빅테크 수준의 AI모델을 개발해 시장에 충격을 주고있는 상황이다. 중기부도 이러한 글로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AI스타트업을 육성하고 중소기업 현장에 인공지능 활용을 확산하기 위한 대책을 발표했다.
 
중기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AI 서비스·솔루션을 개발·제공하는 AI스타트업을 집중 육성하여, 서비스와 활용 측면에서 세계 최고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7년까지 중소기업 AI활용률을 50%('24년 28%)로 높이고, 글로벌 AI 유니콘을 5개 육성한다는 목표도 제시하였다.
 
먼저, 분야별 AI 스타트업 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기업 간 협력 방식의 AI모델 개발을 지원하여, 제조, 금융 등 분야별 AI서비스 공급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확산한다. 또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합성할 수 있는 '데이터 생성 LAB' 구축을 추진하고, 제조 AI전문기업 100개를 지정하여 기업당 최대 100억원 규모의 융자·보증 등 자금*, 인력, 판로 확대 등을 집중 지원한다.
 
* 융자 : 최대 100억원('25년 4,666억원), 보증 : 스마트제조 서비스 보증(시설 100억등)
 
둘째, 개방형 혁신을 통해 스타트업이 개발한 AI서비스의 수요시장 창출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민관협력 이노베이션 사업 등*을 활용해 대기업과 스타트업이 협업하여 특정 산업 문제해결에 특화된 분야별 AI서비스를 개발하고, 산업부의 산업·업종별 자율제조 선도 프로젝트**의 성공사례를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을 통해 확산할 계획이다. 아울러, 중소기업 경영진과 재직자 등이 AI활용에 대한 필요성과 이해도를 제고할 수 있도록 교육·컨설팅을 지원한다.
 
셋째, AI 스타트업 지원을 강화한다. '25년 융자, 보증 등 중소기업 신규 유동성 공급총량*(9.8조원)의 60%(5.7조원)를 AI·반도체 등 혁신성장 분야에 집중 지원하고, '27년까지 정부, 민간 자금 등 약 3조원 규모의 AI 펀드**를 조성·운용하여 AI스타트업에 대한 자금지원을 대폭 확대한다.
 
* 기술보증 지원(기보, 5.5조원), 중소기업 정책자금(중진공, 4.3조원)
**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2조원, ~'27), 글로벌 AI펀드(200억원, '25), AI혁신펀드(900억원, ~'26) 등
 
또한, 중소기업 R&D 신규 예산(3,301억원)의 50% 이상을 AI 등 전략기술 분야에 투자·공급하고, R&D자금과 민간투자를 합해 최대 100억원까지 지원하는 고위험고성과 R&D 사업*에서 AI분야 도전적 과제를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AI 관련 해외기관(MIT 등)과의 공동연구를 지원하고 해외진출을 지원할 수 있도록 AI 전문 엑셀러레이터 제도도 도입한다.
 
* DCP(Deep-tech Challenge Project) : 전략기술 테마별 고위험·고성과 R&D 프로젝트
 
오영주 장관은 "AI 기술이 TV, 세탁기, 시계와 같은 일상제품에까지 적용되는 시대가 왔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중기부와 스타트업, 중소기업 모두가 위기의식을 갖고 대비해야 할 때"라며,
 
"딥시크가 준 충격을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삼아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이 잘 할 수 있는 특화 AI 서비스 분야에 집중하여 AI 국가대표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AI 기술과 시장 선점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