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개 지역 수행기관 공모 후, 7월부터 시범사업 실시 예정-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4월 8일(화) 최중증 발달장애인 긴급돌봄서비스 시범사업에 참여할 제공기관 2개소를 공개모집한다고 밝혔다.
「최중증 발달장애인 긴급돌봄서비스 시범사업」은 자 타해 등 도전적 행동이 심한 최중증 발달장애인 보호자가 입원치료, 경조사, 심리적 소진 등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발달장애인 긴급돌봄서비스는 '23년 4월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되어 '24년 하반기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4.8점(5점 척도)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사업이다.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경우 심한 도전 행동으로 보다 집중적인 돌봄이 필요하기 때문에 최중증 발달장애인을 위한 특별 서비스를 시작하게 되었다.
최중증 긴급돌봄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대상은 기존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서비스 선정자이거나, 발달장애척도(GAS)* 30점 이하 또는 지능지수 35점 이하** 의 발달장애인 중 가족에 의한 예외적 활동지원서비스(가족급여) 선정자이다.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보호자는 긴급한 사유에 따라 긴급돌봄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 GAS 척도(Global Assessment Scale): 전반적인 발달장애 척도로 자폐성 장애 판정 구분에 사용
** 지능지수 35점 이하에 준하는 의학적 검사 결과로 인정 가능
*** 1회 최대 5일, 연 30일 이내
이번 「최중증 발달장애인 긴급돌봄 시범사업」수행기관 공모는 4월 8일(화)부터 4월 22일(화)까지 전국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2개 지역을 선정하여 실시하게 되며, 발달장애인 긴급돌봄서비스를 제공한 경험과 능력이 있는 기존의 발달장애인 긴급돌봄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다.
이번 공모에 신청하고자 하는 수행기관은 전국 광역지방자치단체에 사업계획서 등 관련 서류를 제출하여야 하며, 구체적인 내용은 전국 광역지방자치단체 및 중앙지역 발달장애인지원센터 누리집(www.broso.or.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존 발달장애인 긴급돌봄사업은 시범사업기간('23.4월~'24.12월) 종료 후 시범사업 모니터링 및 사업계획 적정성평가를 거쳐 '25년 1월부터 본사업으로 전환되어 안정적으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보건복지부 손호준 장애인정책국장은 "최중증 발달장애인에게 긴급한 사유 발생 시 필요한 돌봄을 적시에 제공하여, 가족의 돌봄 부담이 완화되고 가족 모두에게 긍정적 변화가 시작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붙임> 최중증 발달장애인 긴급돌봄서비스 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