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병물 아리수’ 지원 40만병으로 늘려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중랑구,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체계 마련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살던 곳에서 안전하고 건강하게…‘금천형 통합돌봄’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서울 강서구, ‘AI 행정 서비스 제안 공모전’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2025년 5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20255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 5월 정보통신산업 수출 208.8억 달러, 무역수지 93.5억 달러 흑자 기록


-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전체 및 對美 수출의 증가세 유지


- ICT 역대 5월 수출 중 최대 실적 기록, 주요 품목 전반의 수출 증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613, 5월 한 달간의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르면, 수출은 208.8억 달러로 전년 동월(190.4억 달러) 대비 9.6% 증가하였으며, 수입은 115.3억 달러로 전년 동월(114.7억 달러) 대비 0.5% 증가했다. 그 결과 무역수지는 93.5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


 


특히, 5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전체 및 對美 수출의 증가세를 유지*했으며, 역대 5월 수출 중 최대 실적** 기록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 전체 수출 추이(억 달러, %) : ('25.2)165.4(0.2) (3)205.2(9.1) (4)189.2(10.8) (5)208.8(9.6)


對美 수출 추이(억 달러, %) : ('25.2)20.9(11.6) (3)27.7(19.3) (4)20.1(0.5) (5)22.9(7.2)


** 역대 5월 순위(억 달러) : 1208.8('25), 2202.0('22), 3190.4('24)


 


5월 정보통신산업(ICT) 주요 품목별 수출은 반도체(21.2%), 휴대폰(2.8%), 컴퓨터·주변기기(1.7%), 통신장비(10.2%)의 수출은 증가하였고, 디스플레이(17.5%)의 수출은 감소하였다.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반도체는 디램과 낸드플래시 등 주요 제품의 고정가격이 반등하고 HBM, DDR5* 등 고부가 메모리의 수출 호조가 이어지면서 수출이 증가하였다. 휴대폰은 일부 부품 수출은 감소했지만, 관세 예고 따라 스마트폰 완제품의 비축 수요가 확대되면서 전체 수출이 증가하였다. 또한 컴퓨터·주변기기는 저장장치(SSD)의 수요가 회복세를 보이며 수출이 증가하였고, 통신장비 역시 미국의 전장용 수요 확대, 인도의 5G 장비 도입 등으로 수출이 증가하였다. 반면, 디스플레이는 관세 불확실성으로 인한 글로벌 수요 둔화의 영향으로 수출이 감소하였다.


* HBM : High Bandwidth Memory, DDR5 : Double Data Rate 5


지역별 수출 동향을 보면, 미국(7.2%), 베트남(15.7%), 유럽연합(1.5%), 일본(12.5%) 등에서는 수출이 증가한 반면, 중국(홍콩포함, 6.8%)에서는 수출은 감소하였다.


 


5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입(115.3억 달러)은 휴대폰(2.3%), 컴퓨터·주변기기(37.4%)의 증가로 전년 동월(114.7억 달러) 대비 0.5% 증가하였다. 특히, 컴퓨터·주변기기 중 AI 수요에 의한 데이터센터 GPU(1.0억 달러, 51.1%) 및 중대형컴퓨터(4.3억 달러, 130%) 수입이 전년 동월 대비 크게 증가하였다.


 




정보통신산업(ICT) 5월 수출 현황




 


품목별 수출 실적 및 특징


(반도체 : 138.0억 달러, 21.2%) 고정가격(D, 낸드) 반등*, AI 서버 투자 확대에 따른 고부가 메모리(DDR5, HBM ) 수출 호조가 지속**되며 역대 5최대 실적 기록


* D램 단가 추이($) : ('23.10)1.50 ('24.1)1.80 (4)2.10 (7)2.10 ('25.4)1.65 (5)2.10,낸드 단가 추이($) : ('23.10)3.88 ('24.1)4.72 (4)4.90 (7)4.90 ('25.4)2.79 (5)2.92


** 반도체 수출 추이(억 달러, %) : ('24.11)124.6(30.3) ('25.4)116.8(17.2) (5)138.0(21.2)


(디스플레이 : 15.2억 달러, 17.5%) 관세 불확실성으로 인한 글로벌 수요 둔화의 영향으로 수출이 감소


디스플레이 수출 추이(억 달러, %) : ('24.10)18.0(21.5) ('25.3)16.4(1.3) (5)15.2(17.5)


(휴대폰 : 10.5억 달러 , 2.8%) 부분품 수출은 감소(6.3억원, 10.2) 했으나, 관세 예고에 따른 완제품 비축 수요 확대(4.3억원, 30.7)로 전체 수출은 4개월간 지속 증가


휴대폰 수출 추이(억 달러, %) : ('25.2)10.6(32.2) (3)9.8(11.9) (4)11.9(28.6) (5)10.5(2.8)


(컴퓨터·주변기기 : 12.0억 달러, 1.7%) 보조기억장치(SSD)의 선제적 재고 비축으로 인한 일시적 수요 감소가 해소되며 수출이 증가로 전환


* SSD 수출 추이(억 달러, %) : ('25.2)6.2(38.9) (3)10.0(43.4) (4)4.7(21.6) (5)9.1(6.9)


컴퓨터·주변기기 수출 추이(억 달러, %) : ('25.2)9.4(26.9) (3)13.1(28.1) (.4)8.0(11.9) (5)12.0(1.7)


(통신장비 : 2.0억 달러, 10.2%) 미국(0.5억 달러, 67.2%) 전장용 수요, 인도(0.2억 달러, 147.0%) 5G 장비 수요 등의 호조로 전체 수출이 증가


통신장비 수출 추이(억 달러, %) : ('25.2)1.9(4.9) (3)2.2(0.4) (4)2.0(3.5) (5)2.0(10.2)




중소 및 중견기업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현황(전년 동월 대비)


(중소·중견기업 49.9억 달러, 0.6%) 반도체(26.5억 달러, 2.9%), 통신장비(1.2억 달러, 19.9%) 등은 증가, 컴퓨터·주변기기(1.5억 달러, 14.6%), 디스플레이(2.0억 달러, 3.6%), 휴대폰(2.0억 달러, 31.9%), 등은 감소


* 중소기업(14.4억 달러, 3.3%)은 통신장비(0.8억 달러, 28.7%)는 증가, 반도체(2.6억 달러, 1.2%), 디스플레이(0.6억 달러, 19.0%), 휴대폰(0.5억 달러, 18.8%), 컴퓨터·주변기기(1.1억 달러, 19.4%) 등은 감소




 


지역별 수출 실적 및 특징


(중국<홍콩 포함> : 75.8억 달러, 6.8%) 컴퓨터·주변기기(2.8억 달러, 11.9%), 통신장비(0.2억 달러, 6.9%)는 증가하였으나, 반도체(57.6억 달러, 7.1%), 디스플레이(5.4억 달러, 9.2%), 휴대폰(4.2억 달러, 3.8%)의 감소로 전체 수출은 감소


중국(홍콩 포함) 수출 추이(억 달러, %) : ('24.11)79.1(2.2) ('25.3)73.3(12.5) (5)75.8(6.8)


(베트남 : 35.5억 달러, 15.7%) 반도체(22.0억 달러, 59.5%), 컴퓨터·주변기기(0.6억 달러, 11.2%)가 수출을 견인하며 전체 수출은 22개월 연속 증가


베트남 수출 추이(억 달러, %) : ('23.8)30.5(1.7) ('25.4)30.5(13.4) (5)35.5(15.7)


(미국 : 22.9억 달러, 7.2%) 휴대폰 완제품 수출이 크게 증가*하며 전체 수출은 19개월 연속 증가


* 미국 휴대폰 완제품 수출 추이(억 달러, %) : ('25.2)0.7(648.5) (3)0.7(476.7) (4)1.3(2214.6) (5)2.3(8665.1)


미국 수출 추이(억 달러, %) : ('23.11)20.6(12.5) ('25.4)20.1(0.5) (5)22.9(7.2)


(유럽연합 : 11.0억 달러, 1.5%) 반도체(4.0억 달러, 54.9%), 컴퓨터·주변기기(2.5억 달러, 24.1%)가 수출을 견인하며 전체 수출은 회복세 유지


유럽연합 수출 추이(억 달러, %) : ('25.3)10.6(2.8) (4)11.2(14.7) (5)11.0(1.5)


(일본 : 3.4억 달러, 12.5%) 반도체(1.0억 달러, 15.5%), 휴대폰(0.1억 달러, 3.6%), 컴퓨터·주변기기(0.6억 달러, 59.1%), 통신장비(0.2억 달러, 10.7%) 주요품목 전반이 증가하며 전체 수출은 회복세 유지


일본 월별 수출 추이(억 달러, %) : ('25.2)2.8(6.1) (3)3.2(2.7) (5)3.4(12.5)


(대만 : 29.4억 달러, 80.4%) 반도체*(27.6억 달러, 96.9%), 휴대폰(0.1억 달러, 13.6%), 디스플레이(0.05억 달러, 9.2%)가 수출을 견인하며 전체 수출은 증가


* DDR5, HBM 등 고부가 메모리(18.2억 달러, 148.2%)가 반도체 수출 견인


대만 월별 수출 추이(억 달러, %) : ('25.1)16.7(68.8) (4)24.0(98.2) (5)29.4(80.4)


(인도 : 4.9억 달러, 7.6%) 반도체(2.9억 달러, 21.3%), 통신장비(0.2억 달러, 147.0%)가 수출을 견인하며 회복세 유지


인도 월별 수출 추이(억 달러, %) : ('25.3)4.2(3.8) (4)5.1(18.0) (5)4.9(7.6)




정보통신산업(ICT) 5월 수입 현황




 


(품목별) 휴대폰(5.6억 달러, 2.3%), 컴퓨터·주변기기(13.8억 달러, 37.4%) 수입은 증가, 반도체(56.5억 달러, 3.9%), 디스플레이(4.1억 달러, 5.3%), 통신장비(3.1억 달러, 20.2%) 수입은 감소


 


(지역별) 미국(7.6억 달러, 10.0%), 베트남(11.8억 달러, 24.6%), 일본(8.8억 달러, 2.7%) 수입은 증가, 중국(홍콩 포함, 35.7억 달러, 23.6%) 수입은 감소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