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급 이하 공무원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반드시 새겨들어야 할 조언이다.수험 전문가들은 “본격적인 수험준비에 앞서 자격증부터 취득해 두는 것이 합격을 앞당길 수 있는 지름길”이라고 강조한다.
|
공무원 임용시험에서 가산점 확보가 합격의… 공무원 임용시험에서 가산점 확보가 합격의 지름길로 인식되면서 자격증 취득은 수험준비의 필수가 됐다.사진은 지난해 열린 IT관련 자격증 박람회에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학생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
즉,가산점 없이는 합격이 힘들다는 얘기다.때문에 공무원 수험준비에 있어 자격증 취득은 기본 중의 기본이 됐다.
●복수자격 취득자도 수두룩
복수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합격자도 수두룩하다.중앙인사위원회의 통계자료에 따르면,지난해 7급 합격자 633명 가운데 자격증으로 가산점을 받은 합격자는 모두 517명.이 중 공통 적용되는 전산관련 자격증 취득자는 490명,기술직의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자는 129명,행정·공안직 관련 자격증 취득자는 17명이다.가산점을 받은 합격자들이 소지한 자격증은 모두 636개로 합격자 수(517명)를 크게 웃돌았다.자격증을 2개 이상 갖고 있는 합격자가 그만큼 많다는 얘기다.
9급의 경우도 마찬가지다.지난해 합격자 1883명 중 자격증 가산점을 받은 합격자는 1480명이다.공통 적용되는 전산관련 자격증 취득자가 1421명,세무사 등이 6명,기술직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자가 265명으로 합격자들의 자격증을 모두 합하면 무려 1692개에 달한다.복수 자격 취득자가 이처럼 많은 이유는 최고 8점까지 자격증으로 가산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예를 들어,7급 세무직에 지원하는 사람이 공인회계사 자격증(5점)과 정보처리기사 자격증(3점)을 가지고 있다면 총 8점을 가산받을 수 있다.
●최고 18점까지 차이
수험전문가들은 1∼2점짜리 자격증이라도 반드시 챙겨둘 것을 강조한다.많은 수험생들이 여러 이유로 가산점을 획득하기 때문에 시작부터 불리한 여건에서 출발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노량진 S고시학원 관계자는 “국가유공자들의 경우 10점을 더 받는다.이들이 자격증을 2개 이상 가지고 있다면 무려 18점을 벌려놓고 경쟁을 시작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때문에 이같은 간극을 좁히려면 자격증은 필수라는 것이다.
실제로 10점 이상의 가산점을 가지고 있는 수험생이 상당수인 것으로 조사됐다.수험전문사이트 고시넷이 12일 현재 수험생 39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567명이 10점 이상의 가산점이 있다고 응답했다.2∼3점이라고 응답한 수험생이 1285명으로 가장 많았고 0.5∼1.5점이 578명,없다고 대답한 수험생도 768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
●가산점 높은 자격증 선호
수험기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자격증을 가능한 한 초기에 따두어야 한다.자격증을 미리 준비해놔야 시험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는 시간이 그만큼 길어지기 때문이다.그리고 이왕이면 높은 가산점을 받을 수 있는 자격증을 선택하는 편이 좋다.지난해 합격자 가산점 현황을 봐도 수험생들이 쉽게 딸 수 있는 자격증보다 정보처리기사 등 가산점이 높은 자격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급 합격자 중 공통 적용되는 자격증 취득자 490명 가운데 기사자격 취득자가 348명으로 가장 많았고,워드프로세서 63명,산업기사 47명,컴퓨터 활용능력 자격증이 32명이었다.9급에서도 산업기사 자격증 보유자가 491명,기사가 382명,워드프로세서 267명,기능사 145명,컴퓨터활용능력 136명 순이었다.
강혜승기자 1fineday@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