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토박이 아나운서가 두차례 지방근무를 거치면서 지방 사투리의 ‘실체’를 체감했다. 반대로 표준어에 빠진 ‘숨은 1인치’가 서울말에 존재한다는 사실도 알게 됐다.
춘천MBC에서 6개월과 KBS 청주방송총국에서 1년을 보낸 위서현(26) 아나운서는 “서울말은 ‘오’가 ‘우’로 바뀌는 경향이 있다.”면서 “어미에서 ‘있고요’를 ‘있구요’로 말하는 것도 여기에 해당된다.”고 설명했다.
지난 2003년 1월 KBS에 입사한 위 아나운서는 현재 ‘남북의 창’을 비롯, ‘국악 한마당’,‘생방송 세상의 아침’의 ‘줌인 세상속으로’ 등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어린이 경제나라’라는 어린이 프로그램에도 합류했다.
강원도와 충청도 방언권에서 아나운서 초년병의 대부분을 보낸 그는 강원도 사투리의 억양은 ‘유머러스’하며 충청도 특유의 느린 말투는 ‘푸근하다.’고 평했다.
“지방에서 근무한 경험은 언어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제가 가진 서울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게 만들었죠. 다양한 지방 프로그램이나 요즘 제가 진행하는 ‘줌인 세상속으로’를 보면 제가 전혀 모르던 ‘세상의 이면’을 보게 됩니다.”
학창시절부터 맞춤법이나 표준어에 민감했던 그는 친구들 사이에서 ‘과잉교정인간’으로 불렸다. 평소 국어학쪽에 관심이 많은데다 단정하고 정리된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이런 오해가 있었다고 해명했다. 그는 표준어를 정확하게 발음하려면 외국어처럼 과학적으로 발음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입에 볼펜을 물고 연습하라는 통설이 있지만 이는 잘못된 발음 습관을 만들 우려가 있습니다. 거울을 보면서 입모양과 혀의 위치를 정확하게 한 뒤 발음하는 것이 최상책입니다.”
평소 말투까지 장단음을 철저하게 지키는 등 꼼꼼하게 자기관리를 하는 아나운서도 많다. 아나운서는 사소한 감기조차도 불허할 정도로 개인의 몸상태가 목소리나 표정으로 대중에 쉽게 노출되는 직업이기 때문이다.
“아프다는 것은 그만큼 자기 관리에 충실하지 못했다는 방증입니다. 잔병치레가 많은 아나운서도 정신력으로 버티는 경우가 있어요. 사실 제게 가장 큰 애로사항은 건강으로 방송에 공백을 내지 않을 체력입니다.”
‘스타’아나운서들이 브라운관을 점령한 현실에서 그의 아나운서관은 의외로 ‘자긍심’이라고 답했다. 외부에 비치는 것처럼 아나운서가 ‘빛나는 직업’만은 아니며 ‘스타’ 보다는 ‘아나운서’라는 일에 충실하고 싶다고 밝혔다.
사실 그는 아나운서를 꿈꾸던 소녀는 아니었다.‘선생님’을 희망하던 그에게 한 지인이 “아나운서 하면 괜찮겠다.”고 던진 한 마디가 그의 가슴에 꽂혔다. 초등학교 교생실습을 통해 ‘과연 내가 아이들의 배양토가 될 수 있을까.’로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을 때다.
“시청자가 많지 않더라도 마니아층을 형성한 음악프로그램을 하면서 시청자와 함께 공감대를 얻고 싶어요. 저는 모던록 마니아거든요.”
이유종기자 bel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