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로 경제연구기관들은 집값이 올해보다 2∼4% 떨어지는 반면 토지는 올해보다 상승세가 둔화되겠지만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건설산업연구원은 내년 매매가는 3.5%, 전세는 5.0% 하락할 것으로 진단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3%, 수도권은 3.5%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김현아 부연구위원은 “내년에는 아파트값 하락세가 재건축아파트에서 일반아파트로 확산되고 서울·수도권에서 야기된 역전세란이 지방도시로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집값이 올해 2%, 내년에는 3∼4%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홍순직 연구원은 “정부의 지속적인 투기억제책과 성장률 둔화 등으로 수요부진이 예상되지만 입주물량 증가 등으로 공급이 늘어나 가격 하락폭이 올해보다 커질 것”이라고 밝혔다.
땅값은 소폭 상승이 예상된다. 건설산업연구원은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 및 각종 지역개발 호재의 영향이 이미 가격에 반영된 데다 신행정수도 건설 무산 등으로 올해(3.0%)보다 둔화된 1∼2%의 상승에 그칠 것으로 분석했다.
이어 “종합부동산세 부과대상에 농지, 임야 등이 제외되면서 투자대상의 전환은 활발해질 것”이라며 “서울 뉴타운 사업, 기업도시 건설 등에 따른 해당지역의 국지적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