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경기도와 해당 자치단체에 따르면 수원시는 영통구 신동 일대 8만 8000평에 도시개발 사업을 추진하면서 사업지구내에 포함된 화성시 반정동 1만 1000평을 수원시에 편입시켜 줄 것을 화성시에 요구했다.
시는 화성시에 보낸 공문에서 “1969년부터 해당지역에 대한 도시계획권을 행사해 왔다.”면서 “원활한 사업수행을 위해 수원시 행정구역 편입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화성시는 “해당 지역은 2021년 화성시 도시기본계획에 포함돼 있는 지역으로 오히려 수원시가 쥐고 있는 도시계획 권한을 넘겨줘야 한다.”고 반박하고 있다.
경기도와 수원시가 추진중인 광교신도시 개발지역에 포함돼 있는 용인시 상현동 일원 4만 6000여평의 처리문제를 놓고도 수원시와 용인시가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수원시는 사업지구에 편입시켜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용인시는 한 평도 그냥 내줄 수 없다고 맞서고 있다.
지난해 6월부터 5만여명의 주민이 입주를 시작한 용인 죽전지구내 주민들은 “동일 생활권인데도 지구내 행정구역이 죽전동과 보전동으로 분리돼 있어 생활에 불편을 겪고 있다.”며 지구의 행정구역을 죽전동으로 일원화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죽전지구에 포함되지 않은 일부 보정동 등 인근 기흥구 주민들은 죽전지구내 보정동이 죽전동에 편입될 경우 구세가 약해지는 것을 우려해 반대하고 있다.
역시 기흥구 동백동과 중동에 걸쳐 있는 동백택지지구내 주민들도 행정구역 단일화를 요구하고 있다.
중동에 속해 있는 동백지구 주민들은 “입주 당시 택지지구 이름을 보고 모두 ‘동백동’으로 알고 있었다.”며 “같은 택지지구의 행정구역이 2개 동으로 나눠져 있으면 주민들이 불편한 만큼 지구내 ‘중동’을 ‘동백동’으로 편입시켜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반면 동백지구에 포함돼 있지 않은 인근 중동지역 아파트 주민들은 “동세가 약해질 수 있다.”며 동백지구내 중동의 동백동 편입을 반대하고 있다.
시는 동백지구에 대한 행정구역 조정문제도 주민의견 수렴 또는 연구용역 등을 거쳐 지구가 완공되는 올해 말 이전에 결론을 낼 방침이다.
수원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