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의 자치권을 부여받아 국제자유도시를 꿈꾸고 있는 제주가 ‘영어 잘하는 제주 만들기’에 올인하고 있다. 싱가포르나 홍콩과 같은 국제자유도시 건설을 위해서는 영어 등 외국어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는 인식 때문이다.
●미국 교과서로 배운다
제주도교육청이 올해부터 시범운영하는 제북·대흘·서귀포·광양·광령 등 5개 자율형 초등학교는 미국교과서를 교재로 삼아 영어교육을 한다.
이들 학교에서는 영어교육을 매일 실시하고 원어민 보조교사를 학교별로 9학급까지는 1명씩,10학급 이상은 2명씩 확대 배치했다.
또 주 3시간 생활 영어교육을 토요일은 ‘외국인의 날’을 운영하는 등 주입식 영어교육에서 탈피한 회화 위주의 교육을 대폭 강화했다.
영어교육 내실화를 위해 지난해 74명보다 18명 늘어난 92명의 원어민 보조교사를 채용했다. 연말까지 115명으로 늘릴 예정이다.
이같은 원어민 보조교사 배치율은 전국 최고인 77% 수준으로 전국 평균 35%에 비해 2배 이상 높다.
또 매년 10월에는 초·중·고교생, 교사, 원어민 교사, 학부모 등이 참가하는 영어종합축제가 열린다.
초등과 중등 영어전담 교사 60명을 대상으로 장기 해외연수사업도 벌인다.
특히 제주도는 앞으로 원어민 교사가 추가로 필요하면 예산을 직접 지원해줄 예정이다.
●영어 전용타운 지원
정부가 추진중인 제주 영어전용 타운의 성공적인 조성을 위해 제주도는 자문위원회를 구성했다.
또 제주 영어타운의 성공 여부는 수익모델 창출을 통해 자생력을 키우는 데 있다고 보고 다양한 수익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외국대학 제주캠퍼스 유치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서귀포시 대정읍 보성리 일대에 조성되는 영어전용타운에는 9000여명이 동시에 수업하는 초·중·고교가 들어선다. 국내 영어교육의 메카로 자리잡게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외국어 우수공무원 인센티브
제주도는 올해부터 공무원 신규 임용시 외국어 능력 우수자에게 가산점을 준다.
또 공무원의 외국어능력 향상을 위해 인력개발원에 영어 중국어 등 5개의 전용강의실을 설치하고 언어교육 석사학위를 소지한 원어민 강사를 초빙, 공무원 외국어교육의 수준을 한단계 높이기로 했다.
도는 제주특별법 제정 당시 거론됐던 영어 공용화 문제도 중장기 과제로 계속 검토해 나갈 방침이다.
제주도교육청 관계자는 “원어민 보조교사의 수업능력 평가제를 실시, 기대 수준에 미달되는 원어민 교사는 퇴출시키는 등 전국 최고 수준의 외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