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조제 안쪽서 유생 발견… 부화시 연안어장 피해
세계에서 가장 긴 방조제 기록을 세운 새만금지구가 해파리떼 산란지로 둔갑해 비상이 걸렸다.11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과 올 4월 조사 결과 새만금방조제 안쪽에서 유해 생물인 보름달물 해파리떼 수천억 마리의 폴립과 유생(2~3㎜)이 발견됐다.
국립수산과학원 조사에서는 해파리 폴립과 이미 부화된 유생이 1만㎡당 23억개체를 넘긴 것으로 조사됐다.
폴립 1개체당 10~20개체의 유생이 부화되는 것을 감안 할 때 수온이 오르는 이달 말쯤에는 1만㎡당 최대 472억개체의 성체가 나타날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새만금방조제 안쪽에서 부화한 해파리떼가 외해로 퍼져 나갈 경우 연안 어장에도 큰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보름달물 해파리는 성체가 되면 지름이 30㎝ 크기로 초여름~늦가을까지 어장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어구 파손, 연안발전소 냉각 계통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보름달물 해파리와 노무라입깃 해파리가 대량 출현했던 지난해 전북 연안 멸치 어획량은 예년보다 40%나 줄었다.
새만금지구에 해파리떼가 대량 서식하는 것은 방조제가 폴립이 부착하기 좋은 암반구조이고 만경강과 동진강에서 영양염류가 유입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농림수산식품부와 전북도는 해파리떼를 구제할 계획이나 워낙 개체수가 많고 방조제가 길어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의문이다.
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
2010-05-12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