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태 한국정보화진흥원장은 “미국 등 선진국에 유사한 랩이 있긴 하지만 동양권에선 최초”라고 강조했다. 2008년 한국 마이크로소프트(MS)와 랩 개설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맺은 뒤 2년 만에 빛을 보게 됐다. 장애인에 대한 정부 차원의 관심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됐다는 의미도 지닌다.
●亞최초 장애인 IT 체험관
눈길을 끄는 건 이 공간이 가상의 인물이 아닌 실제 장애인의 상황을 모델로 했다는 점. 김 원장은 “한국의 스티븐 호킹으로 불리는 이상묵(48) 서울대 교수와 시각장애인용 소프트웨어 개발회사 엑스비전테크놀로지의 황병욱(29·시각장애 1급) 대리,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강완식(33·1급) 팀장 등이 흔쾌히 본인들의 일상 환경 공개에 응했다.”고 말했다. 전신 지체장애인 이 교수의 방은 서울대 자연대 연구실 318호가 그대로 재현됐다. 입으로 움직이는 특수마우스와 음성인식기능, 스마트폰으로 강의자료를 작성하고 학생들을 가르치는 데 무리가 없다.
프로그래머인 황 대리의 공간은 화면낭독 프로그램인 스크린리더와 점자정보 단말기로 꾸며졌다. 전혀 볼 수 없지만 비장애인도 어려워하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업무를 일당백으로 해낸다.
●정부-민간 거버넌스 중요
김 원장은 1990년대 중반 우리나라에 초고속 인터넷망이 깔리는 단계부터 국가정보화 및 전자정부 구축을 주도한 한국 정보화의 산증인이다. 최근엔 장애인, 노령층 등 정보 소외계층 문제 해결에 힘을 쏟고 있다.
“사이버 세상은 장애로 차별받지 않는 ‘따뜻한 디지털’ 세상이어야 합니다. IT 인본주의라면 정보화사회의 소외계층을 끌어안을 수 있습니다.”
김 원장의 소신처럼 IT 기술은 장애인들에겐 귀중한 선물이다. 보조기기의 힘을 빌려 예전엔 취업이 불가능했던 직종으로 진출하는 장애인들이 늘고 있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은 랩 개소를 계기로 개도국의 장애인 정보통신 접근성 개선사업 지원도 구상 중이다. “아태경제사회위원회(UNESCAP), 국제전기통신연합(ITU) 같은 국제기구와 함께 현지에 지원센터를 내고 우리 업체 기기를 보급하는 모델이라면 1석2조인 셈이지요.” 실제로 그는 올해 유엔 전자정부 평가에서 세계 1위에 오른 여세를 몰아 IT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에서 선두에 나선다는 야심을 내비쳤다.
김 원장은 정보격차 해소에 정부·민간 거버넌스의 중요성도 빼놓지 않았다. 그는 “소비자가 존재해야 기업이 존재한다는 간단한 원리를 생각하면 기업의 사회적 책무가 명확해진다.”면서 “IT 기업은 정부와 정보 소외계층의 정책 동반자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업이 리더십을 베풀면서 시민과 공존할 수 있는 전자정부 컨설팅, 소외계층 지원 모델은 대표적인 예”라고 덧붙였다.”
이재연기자 oscal@seoul.co.kr
>> 약력 <<
▲1954년 경남 창원 ▲미 조지아대 행정학 박사 ▲성균관대 행정대학원장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상임 자문위원 ▲국제미래학회 미래정치행정위원장 ▲한국정보화진흥원 초대 원장
2010-06-14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