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의 재개 합의… 협의체 조건 놓고는 이견차 커
서울시와 시의회가 당면과제에 대해 협의를 재개하기로 합의했으나 접근방식이 다른 데다, 예산안 처리 시간이 짧아 돌파구를 마련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오승록(왼쪽) 서울시의회 민주당 대변인과 이종현(왼쪽 두 번째) 서울시 대변인이 지난 25일 서울시청 브리핑실에서 무상급식 등을 놓고 갈등을 빚던 시와 시의회가 협의를 재개했다는 내용을 발표한 뒤 취재진으로부터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
하지만 양측을 대표할 만한 협의체 조건을 놓고 이견이 커 협상이 쉽지 않아 보인다. 이종현 시 대변인은 26일 “관련 시의회 상임위와 한나라당 대표단 등 (민주당 측만 아닌) 협상 파트너를 내세운다면 타협할 여지는 많다.”고 밝혔다. 이에 맞서 오승록 시의회 대변인은 “당초 시와 민주당 측의 입장 차이로 불거진 문제인 만큼 한나라당 측을 거론하는 것은 사태를 잘못 바라본 것”이라며 “27~28일 예결위원회와 29일 본회의를 끝으로 정례회를 마친 직후인 30~31일 임시회를 열기로 했으니 협상할 여지는 열려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신속히 협상한다는 데 공감하고 실무대화 방식을 각자 제안하기로 했다. 시의회 민주당 측이 무상급식 조례안을 통과시키자 다음 날 오 시장은 시정 협의를 중단하겠다고 선언한 가운데 시의회는 예산심의 중 무상급식 예산 695억원을 증액하며 압박했다. 오 시장은 지난 21일 “시의회가 내년 (소득과 무관하게 특정 학년층을 대상으로) 무상급식을 하되 시범사업 형식으로 하자는 등 조례안 철회에 준하는 의사 표시를 하면 대화할 수 있다.”고 말하고 시의회에서도 협상론이 대두되는 등 분위기 변화가 감지됐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2010-12-2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